-
-
환영
김이설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6월
평점 :
책을 모조리 찢으면 어떻게든 결론이 나겠지. 끝이 나겠지. 남편에게 걸었던 희망이 사라진 것보다, 그런 남편을 믿었던 내가 더 측은했다. 부질없는 희망은 빨리 버려야 했다.
p.126
"어지간하면 참아. 결국 후회하게 되어 있어."
"어지간하지 못하면."
"그럼 참지 말고."
p.146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 결국 지나가게 된다. 그것이 가장 큰 위안이었다. 내일모레면 말복이었다. 삼복더위가 지나면 곧 선선해지고, 금세 추워질 것이다. 세상에 사람처럼 간사한 것은 또 없었다.
p.149
김이설, <환영> 中
+) 소설을 읽는 내내 착잡했다. 내가 만약 담배라도 피울 줄 알았더라면 한 대 피워물고 싶을 정도로 가슴이 답답했다. 사실 이 작품은 기존의 여느 소설들에서도 본 듯한 익숙한 구성으로 만들어졌다.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는 무능한 남편 대신 생계를 위해 젖먹이를 떼어놓고 돈을 벌기 위해 애쓰는 여자. 한 가족을 책임지게 되면서 차차 자신의 마음도 몸도 잃어가는 여자가 주인공이다.
팔자라고 말해버리기에는 여자의 삶이 너무나 탁하다. 딱하다 못해 탁하다. 나는 소설 속 여자를 줄곧 그 시선으로 보았다. 그럼 여자가 남편을 만나기 전에는 편했을까. 충분히 예상되듯 여자는 어렸을 때부터 가난하고 비참한 삶을 살아왔다. 내가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정말 가슴이 먹먹해질정도로 씁쓸했던 것은 바로 여자가 자신의 불행한 상황 앞에서, 더 최악의 불행을 상상하는 장면이었다.
그러면서 스스로 위안이라면 위안이랄까, 합리화라면 합리화랄까. 뜻없는 웃음만 연발한다. 미친 여자처럼. 아마 여자는 미치고 싶었을 것이다. 소설 속 여자의 상황이라면 나라도 충분히 그렇다. 이 소설은 우리가 다 알고 있는 현실의 암울한 면을 조근조근 씹으면서 하나씩 하나씩 제시한다. 사람 사이의 예의나 인간에 대한 예의 따위는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이 소설에는 해결책이나 안타까움은 없다. 그저 문제, 위악, 최악 등만이 존재할 뿐이다. 어떤 깨달음 같은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 소설은 현재의 곳곳에 숨겨진 현대인의 위악을 끄집어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