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핀란드 교실 혁명 ㅣ 핀란드 교육 시리즈 1
후쿠타 세이지 지음, 박재원.윤지은 옮김 / 비아북 / 2009년 10월
평점 :
핀란드의 핵심적인 교육과제는 공부 못하는 학생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한국은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만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핀란드의 교육제도가 불리함을 만회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해 돕는 시스템이라면 한국의 교육제도는 불리한 학생들을 가급적 일찍 탈락시키는 시스템이다. 핀란드는 오랜 실험을 통해 공부 못하는 학생을 교육정책의 기본으로 삼게 되었다.
p.54
핀란드에서 교과서란 지식을 집대성한 단 하나의 교재가 아니라 하나의 질 좋은 자료로 취급받는다. 따라서 교과서는 공권력에 의한 검정 없이 자유롭게 채택된다. 또 교과서를 사용하여 배우는 일은 있어도 하나부터 열까지 교과서를 외우게 하는 일은 없다. 교사도 교과서를 획일적으로 주입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p.71
공부를 강제하지 않는다. 어떻게 이해해야 좋은가? 수업의 주체인 학생의 기분까지 존중해준다고 볼 수 있다. 다그치지 않고 흥미를 가질 수 있게 최대한 배려하는 모습에서 진정한 참 스승의 진지함이 읽혀진다. 억지로 시켜봐야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상기해보자.
p.115
"선생님에게 아이들의 성장은 자신의 인생과 겹쳐져 있다"
이 시대의 진정한 스승이 핀란드 교실에서 배운 것을 열심히 실천하여 우리 사회가 주목할 수 밖에 없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낸다면, 그리고 그런 성공을 뒷받침할 제도 개선을 주장한다면 우리 교육에서 비로소 희망이 열릴 것이라 굳게 믿어본다.
p.169
후쿠타 세이지, <핀란드 교실 혁명> 中
+) <핀란드 교육 혁명>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은 핀란드 학교에서 공부하는 모습에 초점을 두어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핀란드에서는 학교에서의 공부라는 것이 잘하고 못하고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는 점이다. 핀란드 선생님의 말처럼 핀란드에서는 질 좋은 자료인 교과서로 학생들이 공부해야 할 부분만을 배우고 나머지는 그들이 사회에 나가 배운다는 것에 믿음을 둔다.
한국이나 일본이나 입시 지옥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것은 교육제도, 그러니까 교육현실이 아니다. 사실은 그것들을 이끌어내는 사회적인 인식 자체가 문제다. 대학을 나온 사람, 나오지 않은 사람,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에 따라 혹은 전공하는 학과에 따라 사람에게 차별을 두는 사회가 문제라는 말이다.
애초에 사회에서 제2의 신분제도처럼 대학의 차별을 두지 않았더라면, 사람들 각자의 직업을 존중해주었더라면, 이런 강압적이고 힘든 교육현실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나는 변호사, 의사 등의 직업이나 노동자들이나 각자 자신의 전공을 잘 살리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주어진 자신의 현실에 열심히 일하는 그들을 평등하게 존중해준다면 공부만을 강조하는 지금의 교육현실은 존재하지 않았을 텐데 안타깝다.
핀란드의 교육 방식을 배워 우리나라에서 실천하려면 얼마나 더 걸릴까. 여전히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