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극한기
이지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응, 희망이 간절한 사람은 때론 희망이 두렵기도 해. 희망밖에는 가질 게 없으니까........ 그러면 오히려 희망에게 배신당할까 봐 피하게 되지. 짝사랑하는 사람 앞에서 숨는 것처럼."

p.58

 

"김연우씨는 안그러는데 옥택선 씨 혼자 연애 감정으로 대하고 계신 것 같아요. 그러니까 이렇게 실망을 하죠. 그럴 필요 없습니다. 이성적인 걸 바라는 것도 아니에요. 그냥 인간적으로 좀 상대를 대하세요. 연애적으로 말고."

p.98

 

"언니가 그랬죠? 어린애가 웬 걱정이냐고? 암세포도 젊은 암세포가 더 활기차듯, 아픔도 젊은 아픔이 더 센거라구요. 앞으로 아플 날이 더 창창하니까요."

p.106

 

나는 그렇게 잃어버리는 데 천재였다. 중요한 점은, 잃어버리더라도 무엇을 언제 어떻게 잃어버렸는지는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제대로 그리워할 수 있으니까. 

(중략)

그리움이란 어차피 약간의 억울함을 품고 있는 감정이므로, 마치 그리움은 키 작은 미남과 같아서 우리는 그 서글픈 한계를 따뜻이 인정해줘야 하는 것이다.

p.135

 

 

이지민, <청춘극한기> 中

 

 

+) 이 책은 딱 한번 소개팅에서 만난 과학자에게 '러브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혼란스런 상황에 빠진 여자의 이야기이다. 치료제도 없는 이 바이러스는 감염되는 순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누군가를 열렬히 사랑하게 되는 신종 바이러스다.

 

처음 책을 접했을 땐 청춘들의 사랑이야기라고만 여겼는데 읽으면서 이게 뭔가 싶을 정도로 조금 황당했다. 이 작품의 중요한 소재인 '바이러스'가 어느 정도 그럴듯한 개연성이 있으면 더 흥미로웠을텐데. 이 작품에서는 그저 우연히 접하게 되고, 우연히 만난 사람들이, 운좋게도 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게 되는 그런 이야기이다. 탄탄한 구성이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