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다르게 사는 사람들
유인경.설원태 외 지음 / 경향신문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그게 아니라 위안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거죠. 희망을 말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지만 희망이 없는 세상에서도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더욱 중요한 일이에요. 희망이 없다고 해서 다 나가 죽을 수는 없잖아. 희망이 없다 하더라도 인간으로 또 살 수 밖에 없어요.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시다. '번뇌를 없애는 데는 고요한 것만한 것이 없고, 부족함을 채우는 데는 근면함만한 것이 없다'는 뜻이다.

(김훈) pp.14~15

 

자신들이 잘못 알고 있는 걸 국민들이 잘못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국민 다수가 선택했지만 다수가 반드시 옳고 정의로운 것은 아니거든요. 이번 촛불집회는 정부를 상대로 한 '투쟁'이 아니라 정부에 바라는 것을 집회로 '표현'한 것이라고 봅니다. 역사를 진화시키기 위해 아름다운 촛불로 평화롭게 표현하려는 것을 그렇게 강경하게 대응하면 안되죠.

 

인생에선 창의력이 가장 중요해요. 찍어낸 듯한 인생. 남의 것을 흉내낸 인생으로 살면 죽을 때 반드시 후회합니다. 자기 인생을 창조하려면 창의력 중심의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외수) pp.85~89

 

내가 아는 것이 다 진실이나 정의는 아니니까 다른 목소리도 들어봐야죠.

(송해) p.109

 

언젠가 나도 죽겠지. 그럼 일회뿐인 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 그래, 나는 나 살고 싶은 대로 살자. 내게 주어진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내 자유의지대로 살자.

(이장희) p.116

 

전 나이들수록 욕망과 편견에서 자유로워져야 하고, 또 늙을수록 꿈이 있어야 한다고 믿어요. 꿈이 없이, 소망이 없이 그대로 늙어가면 돈이 많아도 참 초라하고 비참하게 늙어가는 거죠. 하루 아침에 유능한 목수가 될 수는 없잖아요. 나무를 다듬고 못박는 연습을 하듯 평소에 꿈을 키우며 자원봉사나 기부를 통해 의미있는 삶을 준비하면 됩니다. 몸은 늙어도 꿈은 늙지 않거든요.

(최혜정) p.166

 

 

유인경, 설원태 외, <who? 다르게 사는 사람들> 中

 

 

+) 이 책은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향신문에 실린, 행복한 삶을 사는 일상의 혁명가들을 인터뷰한 글을 모아서 만들어졌다. 이들은 남들과 달리, 자기 내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 목소리에 따라 삶의 방향과 속도를 정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내가 나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삶을 꿈꾸고 그렇게 꿈꾸듯 살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수동적인 삶을 살고 있지는 않나 나를 돌아보게 되었다. 지금 내 주변의 것에 치우쳐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하고, 살고 싶은데로 살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 가수 이장희씨의 말대로 한번 뿐인 인생 내가  원하는 살기에도 짧지 않을까. 반성하게 된다. 한꺼번에 많은 것을 바꾸지는 못하겠지만 하나씩 하나씩 나를 자유롭게 만드는 일을 실천해야겠다고 다짐한다.

 

자유에는 늘 용기가 따르는 법이다. 용기있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자, 나에게도 든든한 지원군이 생긴 것 같아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