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동양적 사고는 현실주의적이라고 합니다. 현실주의적이라는 의미도 매우 다양합니다만 대체로 우리들의 삶이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승인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혼자 마음대로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삶이란 뜻입니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고 나아가 자연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지요. 다른 사람에게 모질게 해서는 안 되며, 과거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내다보아야 하는 것이 우리의 삶이란 뜻입니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일에 소용이 없는 것이라면 의미가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현실주의란 한마디로 살아가는 일의 소박한 진실입니다.
p.34
사람이 모두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령 지금 어떤 사람이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하는 것을 보았다면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이 생길 것이다. (이러한 마음이 생기는 것은)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사귀려고 하기 때문이 아니며 마을 사람이나 친구들로부터 칭찬을 듣기 위해서도 아니며, (반대로 어린아이를 구해주지 않았다는) 비난을 싫어해서도 아니다.
이로써 미루어볼진대 측은해 하는 마음이 없다면 사람이 아니며,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이 없다면 사람이 아니다.
- 맹자 pp.224~225
나는 우리 사회의 가장 절망적인 것이 바로 인간관계의 황폐화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라는 것은 그 뼈대가 인간관계입니다. 그 인간관계의 지속적 질서가 바로 사회의 본질이지요.
지속성이 있어야 만남이 있고, 만남이 일회적이지 않고 지속적일 때 부끄러움이라는 문화가 정착되는 것입니다. 지속적 관계가 전제될 때 비로소 서로 양보하게 되고 스스로 삼가게 되는 것이지요.
p.242
무리하게 하려는 자는 실패하게 마련이며 잡으려 하는 자는 잃어버린다는 것이 노자의 철학입니다. 자연의 법칙을 존중하는 무위의 방식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282
신영복,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中
+) 이 책은 신영복씨가 고전 강독이란 강좌에서 진행하던 강의를 정리한 책이다. <부역>, <논어>를 비롯한 책과, 맹자, 공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법가 등의 사상들을 작가의 관점으로 읽어내고 있다. 천천히 성현들의 말씀을 듣는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읽는다면 기존의 알고 있던 말씀들도 새롭게 다가온다. 독자가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부분들을 저자가 비교적 쉽게 풀이하고 있어서 딱딱한 책은 아닐 것이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부분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차피 달달 외워서 봐야 하는 시험도 아닐진대 이해할 수 있는 만큼만 이해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동양고전의 가치를 새삼스럽게 다시 확인하게 되어서 좋았다. 어느 시대에서나 통하는 것은 분명이 있고,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아주 오랜 시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 인간 관계라는 면에 주목한 저자의 말에 깊이 공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