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니까 청춘이다 - 인생 앞에 홀로 선 젊은 그대에게
김난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나는 너무 늦었어!”라고 단정 지으려는 것은, ‘사실’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기만’의 문제다. 혹시라도 포기나 좌절의 빌미를 스스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그대, 아직 이르다. 적어도 무엇이든 바꿀 수 있을 만큼은. 인생에 너무 늦었거나 혹은 너무 이른 나이는 없다.

p.22

 

열망의 힘은 세다. 세상의 잣대가 아니라 자신의 가치와 열정과 보람을 기준으로 삶을 살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좁고 험난한 길을 서서가는 바보 같은 결정을 내린 사람들이 어느 순간이 되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자리에 우뚝 서 있다.

p.28

 

문제의 핵심은 바닥이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깊은 바닥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바닥이 두려운 것이다 .

p.97

 

늘 그렇듯 중요한 것은 실천이요, 용기다. 그것이 혁명이다.

p.120

 

필요한 순간에는 절제하면서 자기에게 주어지는 순간순간에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인생을 즐기는 진정한 태도다.

p.214

 

나는 ‘슬럼프’라는 말을 쓰지 않아. 왠지 자신을 속이는 것 같아서……. 그냥 게으름 또는 나태라고 하지. (…) 힘내. 하지만 나태를 즐기지 마. 은근히 즐기고 있다면 대신 힘들다고 말하지 마. 몸을 움직여. 운동하고, 사람을 만나고, 할 일을 해. 술 먹지 말고, 일찍 자. 그리고 그것이 무엇이든 오늘 해. 지금 하지 않는다면, 그건 네가 아직도 나태를 즐기고 있다는 증거야. 그럴 거면 더 이상 칭얼대지 마.

 

 

김난도, <아프니까 청춘이다> 中

 

 

+) 상대가 누구이든 이런 도움말을 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것만으로도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막막할 때 누군가의 충고는 사막의 단비같은 존재이다. 물론 상대방의 충고를 무조건 따라서도 안된다. 자기 인생은 자기가 선택해야 하는 것이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순간순간의 어려움에 빠져 있는 순간을 줄이고, 나를 찾기 위해, 나의 열정을 뒷받침해주는 믿음직한 내가 되어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했다.

 

청춘이라는 것은 비단 20대만의 전유물은 아닐터, 나이를 떠나서 내가 간직한 열망을 불태울 수 있도록 청춘임을 잊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다. 내가 나에게 바라는 것은 부담을 버리고 인생을 즐기며 나의 열정을 불사를 수 있도록, 그렇게 나를, 내 삶을 사랑하며 살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어렵지만 생각만으로도 행복하고 뿌듯하다.

 

저자의 말대로 인생에서 너무 늦거나 너무 이른 나이는 없는 것 같다.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는 본인이 결정해야하는 몫이다. 현명하게 살고 싶다. 존경할 수 있는 사람을 많이 만나고 싶다. 배움에는 끝이 없으니까. 모처럼 청춘이란 단어를 깊이 있게 생각해본 계기가 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