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으로 튀어! 2 오늘의 일본문학 4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명은 운동으로는 안 일어나. 한 사람 한 사람 마음속으로 일으키는 것이라고!”

아버지가 부르짖었다. 점점 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집단은 어차피 집단이라고. 부르주아도 프롤레타리아도 집단이 되면 모두 다 똑같아. 권력을 탐하고 그것을 못 지켜서 안달이지!”

p.327 [1권]

 

“집도 사람이나 매한가지야.” 나이든 아저씨가 불쑥 말했다.

“사람이 와서 살아주지 않으면 금세 늙어버려. 그러다가도 사람이 들기만 하면 갑자기 젊어지거든.”

지로는 그 말에 공감했다. 마냥 팽개쳐두면 아이들 역시 비뚤어진다.

p.45 [2권]

 

 

오쿠다 히데오, <남쪽으로 튀어 1, 2> 中

 

 

+) 이 소설은 사회주의 학생운동에 참여하다가 아나키스트로 분파한 아버지를 둔 사춘기 소년 우에하라 지로의 일상을 그린 성장소설이다. 이 소설에서는 한 국가의 국민임을 거부한다거나, 아들에게 학교란 필요치 않다며 학교에 다니지 않아도 된다고 가르치거나, 경찰이나 변호사처럼 법을 수호하는 사람들에게 법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과연 옳은 것인지 가르치려드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아들 지로로서는 아버지가 학교에 와서 부당함과 불의를 주장하는 행동들이 마음에 들지 않고 부끄럽기만 하다. 그러다가 결국 이들 가족은 섬으로 들어가서 살게 되는데 그곳에서 또 하나의 거대한 불의와의 전쟁을 선포한다. 토지개발회사와의 대립. 그로 인해 가족들의 단결된 모습을 보게 되고 결국 아버지와 어머니는 현실이 아닌 그들만의 세계를 찾아서 떠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오쿠다 히데오의 작품은 쉽고 간결한 문체로 또 쉽고 간결한 이야기를 통해 삶의 큰 의미를 전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책이다. <공중그네>만큼의 유쾌함과 깨달음을 전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에서도 나름대로의 유쾌함이 존재하고 있다. 불의를 당당히 지적하는 힘, 그것이 지로의 아버지가 지닌 힘이고 당당함이다. 스스로에게 떳떳하다면 그외의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은 아버지. 그의 존재를 통해 작가는 사람들에게 불의에 맞서는 정의에 대해 논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