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수업 - 삶을 창조하는 법상 스님의 마음학교 1
법상 글.그림 / 무한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애초부터 과거에 얽매여 해보지도 않고 막아서는 겁니까. 모든 가능성에 대해 거부하지 말고, 막아서지 말고, 있는 그대로 나에게 주어진 삶을 통째로 받아들여 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방어벽을 깨고 자유로워지는 길이에요.

p.31

 

항상 깨달음은 나에게 오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오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온다는 표현도 좀 그렇고, 항상 행복은 언제나 지금 여기에 있습니다. 어디로 갔던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 언제나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가 마음을 열고 받아들이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마음의 문을 열고 초대만 하면 문 앞에서 내내 기다리고 있던 행복도, 진리도, 사랑도, 깨달음도 그 모든 진리의 요소들이 줄지어 들어오게 될 것입니다.

p.51

 

 세상을 향해, 삶을 향해 나를 완전히 열어 둔 사람에게는 만나는 모든 사건, 모든 이들, 모든 사람,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그것이 바로 나를 일깨워 주기 위한 깨우침의 일이 됩니다.

 그래서 내 삶에서 등장하는 그 어떤 것도 거부할 필요가 없단 말이에요. 그 모든 일들이 나에게 흘러와서 흘러가도록 내버려둬야 합니다. 모든 일이 일어나도록 그냥 완전히 나를 허용하는 겁니다. 그럼 그 일이 진리의 일이 되고 부처의 일이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매 순간순간 우리에게 펼쳐지는 모든 일들은 이제껏 제가 말씀드린 방어벽을 업애 주기 위한 목적으로 나에게 찾아옵니다. 만약에 어떤 새로운 일에 대해 받아들이지 못하겠다고 한다면, 그것은 나의 방어벽을 결코 무너뜨릴 수 없다고 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p.62

 

 과거에 얽매여서 현재를 해석하면 새롭게 살아나갈 수 없습니다. 과거에 갇힌 채 새로운 한계의 가능성, 어쩌면 과거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을 그 가능성조차 과거에 묻어버리는 우(愚)를 범하는 꼴이 되고 말지요.

 그런데 이런 일은 우리 삶의 모든 부분에서 일어납니다. 모든 부분에서 우리는 과거에 걷히고 얽매여 있음으로 인해 전혀 새로운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시키고 있습니다. 과거의 견고한 토대 위에서 항상 현실을 판단하기 때문에 새로운 가능성을 받아들이기 힘든 것입니다.

p.84

 

만약에 여러분이 전혀 새로운 삶을 살고 싶다고 한다면 과거를 불러들여서 현재를 해석하는 그런 일은 그만두어야 합니다. 지금 이 순간순간의 경험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과거의 경험으로써 퇴행하게 만들면 안됩니다. 지금 이 순간이라는 전혀 새로운 경험을 늘 보아 오던 것이라는 익숙한 어떤 것으로, 혹은 이미 알고 있다는 기지의 어떤 것으로 해석함으로써 생생한 의미를 축소시킬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그 새로운 현재가 나에게 주고자 하는 전혀 새로운 깨달음과 가르침을 과거로써 닫아버릴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p.118

 

우리는 겉으로 '빨리 나아야 하는데, 빨리 나아야 하는데' 하고 바라겠지만 사실은 이 마음이 무엇을 연습시키거나 하면 '심장이 안 좋다'는 에너지, '심장이 나쁘다'는 주파수의 파장과 자꾸만 공명을 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니 심장은 더 안 좋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차라리 심장에 붙박여 있는 그 노이로제 같은 마음을 놓고 그 마음을 비워 버리면 되는데 오히려 더나쁘게 마음을 연습한단 말입니다. 비우지 못하겠고 놓아 버리지 못하겠다면 오히려 반대로 이 생각, 이 의업, 이 의지라는 것을 역이용하면 됩니다. 심장을 향해,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라고 외치는 것입니다. 혹은 '심장을 다시 건강하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해도 좋습니다. 감사와 사랑이야말로 이 우주의 모든 밝고 건강하며 청청한 모든 파장과 공명하는 최고의 진언이기 때문입니다.

p.168

 

 

 그 어떤 외부의 경계에 이리 휘둘리고 저리 휘둘리고 왔다갔다 하는 삶이 아니라 중심에 딱 뿌리 내리고 그것을 자유롭게 바라보면서 거기 휘둘리지 않고 걸림 없는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이렇듯 우리 삶의 본질은 사실 아주 즐겁고 생기롭게 누리는 것입니다.

 본성을 거슬러 살지 말고 다만 본성에 맡기고 자연스럽게 살아가라는 것입니다.

 부처님 말씀은 '내가 공연히 문제를 만들지 말고 애써 만들지만 않으면 그 자리가 부처의 자리다'라는 것입니다.

p.236

 

 자기 스스로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나는 이렇다. 나는 이런 사람이다.' 하고 자기가 만들어 놓은 틀이 있으면 부처도 그 틀을 깨주기가 어렵습니다. 여러분이 나의 능력을 한정 짓고 있는 이상 그 능력은 내 스스로가 깨야 되는 것이지 부처가 와도 여러분의 그 자기한정과 제한된 틀을 못 깨줍니다.

 진리는 '언제나 나를 바꿀 수 있는 것은 내 안에서 시작된다'는 가르침입니다.

 그래서 먼저 나를 열어두고 스스로 자기를 가두는 마음을 버려야 해요.

p.288

 

 

법상, <삶을 창조하는 행복수업> 中

 

 

+) 이 책을 통해 내가 갖고 있는 '틀'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알았다. 나는 종종 나라는 사람을 틀지워 놓고 내가 그것에서 조금도 달라지지 않음을 실망스럽게 바라보곤 했는데, 결국 그렇게 나를 만든 것은 마음을 열지 않고 스스로를 한정시켜 버리는 내 잘못이었다. 이제는 그런 생각을 버리고자 애써야겠다. 부정적인 마음은 부정적인 생각을 만들고 그것이 현실을 부정적으로 만드는 법이다.

 

과거의 경험에 얽매이면 현재가 그 정도 수준으로 밖에 구성되지 않는다. 과거는 과거고, 현재는 현재다. 매순간이 새로운 것이라면 그것이 설사 과거와 비슷한 상황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과거에 틀지워 바라볼 필요는 없다. 나는 왜 그것을 모르고 모든 것을 과거에 연연하여 생각했을까. 일상이 아무리 비슷해도 무언가 조금씩 다른 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늘 새로운 순간을 맞이하고 싶다면 과거에서 벗어나자.

 

불안하고 불편한 감정들은 자꾸 되새기는 것보다 한쪽으로 미뤄두고 그와 정반대인 따뜻하고 좋은 마음을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어렵다면 부정적인 감정들을 저 멀리 미뤄두고 다른 것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일단 그렇게 다른 것에 관심을 쏟고 나면 시간이 지나면서 커져버린 불안이나 분노가 조금씩 작아진다. 그건 그 감정이 사라진다기 보다 그것에 관심을 쏟았기에 커졌던 것이 본래 상태로 조그맣게 줄어드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이 지나 과거를 돌이켜보았을 때 미친 듯이 화를 냈던 것들이 기억나지 않거나 별 것 아니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부정적인 생각이 떠오르면 제일 먼저 내가 지금 나쁜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야 한다. 그런 뒤에 그것을 한쪽으로 자꾸 쳐내야 한다. 그런 생가은 커질수록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나를 지배하게 된다. 그러기 전에 자꾸만 저쪽으로 밀어버리자. 그리고 다른 것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입밖으로 그 부정적인 것에 대한 말도 꺼내지 말자. 말할수록 불안과 분노는 커지니까. '다 잘될꺼야'라는 생각, '복 받을꺼야'라는 생각, '감사해, 사랑해'라는 생각을 불러들이자. 긍정의 힘은 현실을 바꾸는 어마어마한 힘이 있으니까.

 

종교를 떠나서 행복한 삶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누가 읽어도 좋은 책이다.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며 논리적인 책이라 신뢰감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