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지음, 조석현 옮김 / 이마고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기억을 조금이라도 잃어버려봐야만 우리의 삶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기억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억이 없는 인생은 인생이라고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의 통일성과 이성과 감정 심지어는 우리의 행동까지도 기억이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을. 기억이 없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아니다. (내가 기다리는 것은 완전한 기억상실뿐이다. 그것만이 내 삶을 모두 지워버릴 수 있다. 내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 루이스 부뉴엘
p.53
나이가 들면 중풍이나 노쇠, 뇌 손상 등으로 그때까지의 생활 즉 고도의 정신 생활이 예상치 않게 빨리 종지부를 찍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일을 겪는다해도 자신이 인생을 살아왔고 자신의 등 뒤에 과거가 있다는 기억은 남으며, 그것으로 아쉬움을 달랠 수 있다. '적어도 내가 뇌를 다치기 전 또는 발작을 일으키기 전에는 힘껏 노력하면서 살았다.'라고. '인생을 살았다'라는 의식은 인간에게 때로 위안을 주기도 하고 때로 쓰디쓴 회한을 주기도 하지만, 역행성 기억상실증에 걸리면 이러한 의식조차 없어진다.
p.88
사물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너무도 단순하고 친수하기 때문에 우리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 (늘 눈앞에 있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으로 탐구해야 하는 것은 그냥 스쳐 지나가는 법이다.
- 비트겐슈타인
p.93
올리버 색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中
+) 이 책은 작가가 말한 바 있는 '주체성 신경학'에 대한 연구서이다. 정확히 말하면 임상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많은 환자들은 그들이 지닌 병 때문에 괴롭기도 하고 때로 즐겁기도 하다. 또한 본인의 병을 알고 있기도 하고 그것이 병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 그런 부분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줄이기 때문에 책을 읽는 내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읽게 된다.
'상실, 과잉, 이행, 단순함'의 큰 테마 아래 여러 환자들의 에피소드가 담겨 있다. 환자의 유형에 따라 다르겠으나 무엇보다 이들이 겪고 있는 병의 원인이 무엇일지 무척 궁금했다. 그들이 병을 어떻게 극복하는지도 대단히 중요한 문제지만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싶다. 가벼운 마음으로 심리학에 대한 책을 읽어보고 싶다면 권한다. 단, 사례 중심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면에 관심을 둔다면 흥미가 조금 떨어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