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뜬한 잠 창비시선 274
박성우 지음 / 창비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망증'

 

깜빡 나를 잊고 출근버스에 올랐다

어리둥절해진 몸은

차에서 내려 곧장 집으로 달려갔다

방문 밀치고 들어가 두리번두리번

챙겨가지 못한 나를 찾아보았다

화장실과 장롱 안까지 샅샅이 뒤져보았지만

집안 그 어디에도 나는 없었다

몇장의 팬티와 옷가지가

가방 가득 들어 있는 걸로 봐서 나는

그새 어디인가로 황급히 도망친 게 분명했다

그렇게 쉬고 싶어하던 나에게

잠시 미안한 생각이 앞섰지만

몸은 지각 출근을 서둘러야 했다

점심엔 짜장면을 먹다 남겼고

오후엔 잠이 몰려와 자울자울 졸았다

퇴근할 무렵 비가 내렸다

내가 없는 몸은 우산을 찾지 않았고

순대국밥집에 들러 소주를 들이켰다

서너 잔의 술에도 내가 없는 몸은

너무 가벼워서인지 너무 무거워서인지

자꾸 균형을 잃었다 금연하면

건강해지고 장수할 수 있을 것 같은 몸은

마구 담배를 피워댔다 유리창에 얼핏

비친 몸이 외롭고 쓸쓸해 보였다

옆에 앉은 손님이 말을 건네왔지만

내가 없었으므로 몸은 대꾸하지 않았다

우산 없이 젖은 귀가를 하려 했을 때

어딘가로 뛰쳐나간 내가 막막하게 그리웠다

 

 

박성우, <가뜬한 잠> 中

 

 

+) 이번 박성우의 시집은 <거미>보다 오히려 더 느슨해진 느낌이다. 시라기 보다 유년시절을 회상한 단상 정도라고나 할까. 사물에 대한 응시나 과거 회상, 추억 회귀의 자세는 좋지만 그 정도에서 그쳐 버렸다. 시적 대상에 대한 사유가 부족한 듯 관찰과 회상만이 둥둥 뜬 것 같다. 소통 불가능한 작품들이 많은 최근의 현대시 경향에 비한다면 독자 입장에서 읽기에 부담없는 시집이 되겠으나, 알맹이 없이 껍데기만 존재하는 작품처럼 느껴진다.

 

그의 시를 읽은 한 시인이 시는 사치스럽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평했다. 그것에는 공감하나, 사치스럽지 않다는 것이 또한 수수하다는 것은 아닐터다. 담백한 맛이라기 보다 오히려 싱거운 맛이 느껴지니 말이다. 박성우의 다음 시집에서는 생각이 깊이가 더 심화된 작품을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