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조선시대의 벼슬아치 미암 유희춘이 1567년부터 1577년까지 11년 여에 걸쳐 한문으로 작성한 개인 일기 <미암일기>를 토대로 하여 16세기 당시 양반 가정의 생활사를 그려낸 작품이다. 미암이 유배를 마치고 홍문관으로 다시 출근할 무렵부터 쓰기 시작한 <미암일기>는 조선시대 개인 일기 중에서 비교적 상사하고 방대한 것으로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은 작품이다. 작가는 이 <미암일기>를 관직생활과 살림살이, 나들이, 재산 증식, 부부갈등, 노후생활 등 몇 가지로 분류하여 상세하고 서술하며 때때로 극화하여 소설처럼 적고 있어서 독자의 이해를 친절하게 돕고 있다. 이 책을 통해 16세기 조선인들의 삶을 엿볼 수 있고, 양반의 생활을 세세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양반 댁 부녀자로서의 삶과 그녀들을 바라보는 양반들의 시선까지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읽기에 부담 없이 쉽게 쓰여졌고, 일반 가정의 생활사를 다방면에서 서술하고 있어서 유익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