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든
헨리 데이빗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이레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컨대 나는 신념과 경험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확신을 가지고 있다. 즉 우리가 소박하고 현명하게 생활한다면 이 세상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은 힘든 일이 아니라 오히려 즐거운 일이라는 것을. 단순한 민족이 생계상 늘 하는 일을 인위적인 민족은 이제 오락으로밖에 할 수 없게 된 것과 같다고 하겠다. 땀을 쉽게 흘리는 사람이 아니라면 구태여 이마에 땀을 흘려가며 밥벌이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p.102
내가 숲 속으로 들어간 것은 인생을 의도적으로 살아보기 위해서였다. 다시 말해서 인생의 본질적인 사실만을 직면해보려는 것이었으며, 인생이 가르치는 바를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던 것이며,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내가 헛된 삶을 살았구나 하고 깨닫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삶이 아닌 것은 살지 않으려고 했으니, 삶은 그처럼 소중한 것이다. 그리고 정말 불가피하게 되지 않는 한 체념의 철학을 따르기는 원치 않았다.
pp.129~130
간소하게, 간소하게, 간소하게 살라! 제발 바라건대, 여러분의 일을 두 가지나 세 가지로 줄일 것이며, 백 가지나 천 가지가 되도록 두지 말라. 백만 대신에 다섯이나 여섯까지만 셀 것이며, 계산은 엄지손톱에 할 수 있도록 하라. 문명 생활이라고 하는 이 험난한 바다 한가운데서는 구름과 태풍과 유사와 그리고 천 가지하고도 한 가지의 상황을 파악해야 하므로, 배가 침몰하여 바다 밑에 가라앉아 목표 항구에 입항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측항법으로 인생을 살아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뛰어난 계산가가 아니면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다.
p.132
자연 가운데 살면서 자신의 감각 기능을 온전하게 유지하는 사람에게는 암담한 우울이 존재할 여유가 없다. 건강하고 순수한 사람의 귀에는 어떤 폭풍우도 '바람의 신'의 음악으로 들릴 뿐이다. 소박하고 용기 있는 사람을 속된 슬픔으로 몰아넣을 권리를 가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p.188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中
+) 자연인으로 살고 싶다면 먼저 <월든>을 읽어보라는 구절을 본 적이 있다. <월든>은 소로우가 월든 호숫가에서 혼자 보낸 시간들을 써내려간 책이다. 당시 월든 호숫가는 가장 가까운 마을과도 한참은 먼 거리에 있는 깊은 산 속이었다. 보이는 것은 숲, 호수, 하늘, 동물들 뿐인 이곳에서 소로우는 통나무집을 만들어 살았다. 밭을 일구고 고기를 잡으며 원시시절처럼 지낸 것이다.
그는 거기서 지내는 동안 대부분 자급자족하며 살았는데, 땀을 흘리며 육체를 움직였고 그것을 즐기고자 노력했다.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생산했고, 그 외의 시간들은 주변 자연에 온 감각을 곧추세워 마음껏 자연에 취해 지냈다. 그의 삶을 지켜보노라면 내가 왜 이렇게 치열하게 인생을 살아야 하는가 뒤돌아 보게 된다. 그의 말대로 소박하게, 간소하게, 그렇게 살면 어떨까.
누군가는 <월든>이 문물과 문명에 대항하는 글이라고 하지만, 나는 그것보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실천하는 사람의 일기라고 말하고 싶다. 현대인에게 경종을 울리는 부분이 많지만, 그것은 작자의 의도라기 보다 자연으로 돌아가는 삶을 추구하다 보니 문명의 반대편에 서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라는 말도 오해의 소지가 많다. 인간과 자연을 이분화시키는 표현이니까. 그의 말대로 인간은 거대한 자연의 일부가 아닐까.
무엇보다 그가 삶이 부러웠는데, 그처럼 밭을 일구며 자급자족으로 필요한 만큼의 양식을 먹으며 사는 것도 꽤 매력적이라고 생각된다. 어찌보면 소로우는 정약용 선생처럼 육체와 정신의 일치를 선호하며 실용적인 삶을 좋아하는 면이 있다. 자연으로 돌아가라, 그리고 인생을 즐겨라. 나는 <월든>의 자연을 통해 가슴벅차오름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