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 미래를 위한 자기발전 독서법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지금 읽어야 한다. 오늘이 아니면 내일은 또 다른 이유들이 생길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행동하는 사람들이었다. 몽상가는 없었다. 몽상가는 상상만 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것도 없다. 단지 머릿속에서 성을 짓고 허물기를 반복한다. 반대로 실천가는 지금 당장 작은 행동을 시작한다. 그러면서 배우고 다시 실천하기를 반복한다.

p.18

 

책을 읽고 중요한 부분을 외우는 것은 책읽기의 기본이다.

p.49

 

 책 읽기에도 단계가 있다. 첫번째 단계는 많이 읽고 많이 기억하려는 단계이다. 두번째 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생각하는 단계이다. 세번째 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쓰는 단계이다.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기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생각하는 것보다는 글을 쓰는 것이 보다 창의적인 두되활동을 자극한다.

p.62~64

 

책읽기가 지겨울수록 천천히 읽어야 한다. 차근차근 천천히 읽어야 이해가 되고 이해가 되면 지겨움이 사라진다.

p.82

 

글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연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르치듯이 읽는 것임을 기억하도록 하자.

p.145

 

올바른 독서가들은 다른 사람의 다른 생각을 통해서 이차적인 독서를 한다. 일차적인 독서는 자신이 직접 책을 읽음으로써 이루어지고 이차적인 독서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다른 사람들이 느낀 내용을 통해서 배우는 것이다.

p.171

 

 

안상헌, <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中

 

 

+) 독서광이라는 말이 반갑게 느껴진다. 저자와 마찬가지로 나 또한 책읽기에 커다란 가치를 부여하는 사람중의 하나이다. 짜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독서를 하는 순간만큼 행복한 때도 없다. 주로 전철을 이용할 때 책을 읽는 편인데, 그때만큼 집중이 잘 되는 시간도 없다. 집에서 혹은 학교에서 혹은 직장에서 시간을 정해두고 책을 읽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순간마다 흥미로운 책을 선택해야 하는데 그것도 어려운 일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읽고 싶은 책을 찾아 읽는 편이다. 읽어야 할 책을 억지로 읽었던 시기도 있었으나, 그게 지겨워진 나는 요즘 손이 가는데로, 마음이 가는데로 책을 읽고 있다. 하지만 이건 취미로서 행할 때 가능하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 깊이 있는 지식을 얻고 싶다면 목록을 만들어 그 분야와 관련된 책을 하나씩 독파하는 것이 오히려 좋다.

 

저자의 말대로 아무거나 읽는 독서는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책 읽는 것이 싫은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어려운 책을 고르기보다 가벼운 만화책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읽는 것이 좋다. 그래야 다른 분야의 책을 읽어도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내 눈이 건강한한 나는 평생 책을 읽으며 살고 싶은 소망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