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 눕는다 - 김사과 장편소설
김사과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 안에서 굶어 죽겠다, 아름답게. 그게 내 꿈이었다.”

 

 

소설가가 된 것은 대학에 온 뒤 내가 얻은 유일한 성과였다. (중략) 그러고 나선 아무것도 안 했다. 사실 나는 그 짧은 소설이 세상을 바꿀 거라고 확신했다. 그땐 내게도 야심이라는 게 있었던 것이다. 아니 바로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내 글을 마음에 들어한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 손에 돈을 쥐여주며 격려의 박수를 쳐준 거라고 생각했다. 혁명을 일으키라고, 세상을 바꾸어놓으라고 말이다. 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정말로 신기한 일이었다. 내가 쓴 글은 바닷속 플랑크톤 한 마리만큼의 영향력도 없었다. 나에게 돌아온 것은 몇 푼의 돈과 지하벙커처럼 견고한 침묵뿐이었다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뿐이었다. 삶을 불확실성 속으로 완전히 밀어넣을 것. 우리 자신조차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할 것"



김사과, <풀이 눕는다> 中

 

 

+) 운명같은 남자를 만났다고 믿은 순간, 자신도 모르게 여자는 남자에게 당당히 말했다. 좋아한다고. 그녀에게는 고백 외에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지 않았다. 길에서 만난 남자에게 고백해버린 여자는 적극적으로 그에게 구애하고 그를 '풀'이라고 부르며 다가선다. 그런데 그녀의 사랑은 상당히 이기적이다. 상대방의 상황은 고려하지 않은 채 자기 위주로만 행동한다. 화가 지망생인 풀의 그림을 망쳐놓는가 하면, 아르바이트를 못하게 방해하기도 한다.

 

소설가 지망생인 여자가 등단하면서 세상을 바꿀꺼라고 결심했지만 현실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녀는 눈앞의 현실에 당황스러웠지만 사실을 처절하게 알게 된다. 그러면서 그녀는 방황하게 되고 술을 마시고 풀에게 집착한다. 하지만 매순간 그녀 옆에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여자는 끝내 풀과 헤어지게 된다.

 

이들은 현재중심 인간형이다. 미래지향의 일반적인 사람들과 달리 돈이 떨어지면 아르바이트를 해서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먹고 살다가 또 돈이 떨어지면 일을 하는, 오로지 현순간만을 중시하는 사람이다. 그 삶이 나쁜 것은 아닌데 그게 여자의 집착어린 사랑에서 시작됐다는 점이 좀 안타깝다. 사랑일까. 풀에게 여자는 어떤 존재였을지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 그런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