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과 정신분석학 이제이북스 아이콘북스 1
존 M. 히튼 지음, 전대호 옮김 / 이제이북스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비트겐슈타인은 우리 모두가 언어의 기만적 힘에 사로잡힌 수인임을 간파했다. 이 때문에 그는 철학 못지않게 문학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단어의 기만적 힘은 매우 커서 우리가 단어의 분별력으로는 거짓과 참을 구분할 수 없을 만큼 교묘하게 실재를 꾸며낼 수 있다. 우리 자신 만큼은 진실을 소유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순간조차도 단어가 우리를 속일 수 있다.

p.10

 

우리는 누군가에게 생각을 강요할 수는 없다. 대신 사려 깊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혼란을 겪을 필요가 있다. 보다 열심히 생각하라는 훈계는 조바심과 싫증을 낳을지는 몰라도, 생각을 낳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생각은 생산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생각한다는 것은 생산라인을 가동시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머리 속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경험하는 불분명한 강요된 '생각'은 사려 깊음이 아니다 .

p.13

 

명료함은 마음의 평화에서 핵심적인 요소다. 왜냐하면 명료함은 우리로 하여금 어떻게 우리가 언어를 오용하고 오해하여 문제들을 키워왔는지 깨닫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문제를 만나면 해방시키는 단어를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상황의 '인상적 특징'을 정확히 알아야만 계속해서 전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36

 

존 M. 히튼, <비트겐슈타인과 정신분석> 中

 

 

+)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 내가 '언어'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과 같았기 때문일까. 나는 유달리 정신분석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좋아한다. 우리가 사실 알고 있다고 자부하거나 생각하고 있는 것들을 입밖으로 내뱉을 때, 그것을 표현하는 언어에게 속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표현할 수 있는 사실들은 전부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단어들로만 구성될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생각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한번쯤은 의심해볼 만하지 않을까.

 

비트겐슈타인은 말했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고. 명료하게 말해질 수 있는 것만을 말해야 한다고. 가끔 우리 스스로 명확하게 말하고 있다고 단언하는 것을 의심해야 한다. 분명히 게중의 몇 가지는 우리가 오해한 사실들을 정확하다고 착각한 단어들로 구사할 수 있을테니. 관련 서적을 좀 더 찾아 읽어보아야겠다. 모처럼 즐거운 철학읽기였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mk0718 2010-04-16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당한 단어가 생각나지 않을때
'a랄까 b랄까 뭐라 해야하지 c라고 해야할까...' 라고 말한다음에
"a,b,c,d,e.......의 합집합에 내가 말하고자 하는 영감이 속한다"
라고 이야기하면 되지 않을까요?
왜 말할 수 없다고 침묵해야할까요...

nmk0718 2010-04-16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비트겐슈타인의 책은 안읽어봤지만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할 수 밖에 없다. (능력상 불가능하기에)' 라는 말의
오역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닌가 봐요

우비소녀 2010-04-16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단어상의 것이 아니라 개념의 문제인 것 같아요. ^^
어찌보면 말장난 같기도 하지만 그의 철학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죠.

<논리철학논고>나 <철학적 탐구>를 보세요. 사람들이 제대로 번역한게 맞나 싶을 정도로 비트겐슈타인만의 생각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에게 유기적인 연결을 바라는게 무리인지라, '나열'이란 단어를 씁니다^^

nmk0718 2010-04-16 2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면 비트겐슈타인의 책은 원서로 읽는 것이 훨씬 낫겠네요... 답변감사합니다.

우비소녀 2010-04-18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말씀을요^^ 비트겐슈타인의 책을 원서로 읽을 수 있다면, 그것도 참 매력적일 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