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사감과 러브레터 / 운수 좋은 날 외 하서명작선 6
현진건 지음, 윤병로 해설 / (주)하서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이윽과 남편은 기막힌 듯이 웃는다.

“흥, 또 못 알아듣는군. 묻는 내가 그르지. 마누라야 그런 말을 알 수 있겠소. 내가 설명해 드리지. 자세히 들어요. 내게 술을 권하는 것은 화증도 아니고 하이칼라도 아니요. 이 사회란 것이 내게 술을 권한다오. 이 조선 사회란 것이 내게 술을 권한다오. 알았소? 팔자가 좋아서 조선에 태어났지, 딴 나라에 났더면 술이나 얻어먹을 수 있나......”

사회란 무엇인가? 아내는 또 알 수가 없었다. 어찌하였든 딴 나라에는 없고, 조선에만 있는 요릿집 이름이어니 한다.

“조선에 있어도 아니 다니면 고만이지요.”

남편은 또 아까 웃음을 재우친다.

 

p.90 - 현진건, [술 권하는 사회]

 

 

‘패배자’

그는 가만히 이렇게 자기를 불러 본다. 시냇물은 조약돌이 옹기종기 몰려 있는 수택의 발 밑을 지날 때마다 뭐라고인지 종알대고 흘러간다.

이 물소리를 해득만 한다면 여러 가지 의미가 포함되었으리라. 그러나 지금의 수택으로서는 이 속삭이는 물소리보다도 지난날의 추억보다도 패배자의 짐을 싣고 가는 마차 바퀴 소리만이 과장이 돼서 울리는 것이었다.

‘패배자? 어째서 패배자냐? 오랫동안 동경해 오던 이상 생활의 첫 출발이지!’

 

p.135 - 이무영, [제1과 제1장]

 

 

현진건 외, <운수 좋은 날 외> 中

 

 

+) "조선 사회가 술을 권한다"는 주인공의 외침이 현재의 나에게도 가슴 깊이 다가온다. 당대의 지식인으로서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무력한 자신을 비난하며 술을 마시던 주인공은 현재에도 종종 볼 수 있다. 그만큼 사회의 부조리함은 달라지지 않았다. 몇 십년이 지나도 여전히 답답한 사회 현실은 반복되고 있다. 이무영의 소설 속 주인공이 농촌으로 돌아간 것은 어쩌면 그와 같은 이유 때문일 것이다. 지나치게 농촌과 도시를 이분화시켰다는 단점을 제외하고 이무영의 소설도 꽤 흥미로웠는데 무엇이 진정 이상 생활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돌이켜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