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찬기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벗이여, 내 자네와 약속하지. 나는 이제부터 내 자신을 개혁하겠어. 운명이 우리들에게 던지는 사소한 죄의 대가를 지금처럼 언제까지나 되돌아보고 생각하고 하는 따위의 일은 이제 그만두겠어. 나는 현재를 즐길 거야. 과거는 과거로서 묻어버리겠어. 자네 말이 옳아. 아무 걱정이 없는 현재를 걸어가기보다는, 지나가 버린 고민의 추억을 자아 내려는 상상력으로 해서 공연히 애를 먹는다는 거 말이야.

  - 1771년 5월 4일

   

"제가 이야기하려고 한 것도 바로 그겁니다. 도대체 우울이라는 것은 태만과 같은 성질의 것이지요. 그건 태만의 일종이에요. 대체로 인간의 성질은 거기에 있는 거에요. 그러나 일단 부르르 떨치고 일어나서 기운을 내면, 일이 척척 진척되어 가고. 더구나 그 일 속에서 참다운 쾌락을 발견하게 되지요."

- 7월 1일

 

“아뇨. 그렇지가 않습니다. 만약에 그 우울이 자기를 해치고, 나아가서는 남한테까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면 그것은 비로소 죄악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란 서로 상대방을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죄가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자기의 마음속에서 남몰래 다소곳이 즐기고 있는 쾌락마저 빼앗으려고 해서야 되겠어요? 밤낮 우울한 기분으로 혼자서 그 울적한 마음을 꾹 참아 내면서 주위의 즐거움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만한 너그러운 분이 이 세상에 있다면 그런 분의 성함을 좀 알고 싶을 정도입니다. 대체로 우울한 기분이라는 것은 자기의 무가치에 대한 내심의 불평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보잘것없는 허영심에서 일어나는 질투심과 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감이 서로 뭉쳐져서 생겨난 것이지요. 정말 자기의 불쾌감을 죽이고 명랑한 듯한 얼굴을 하고 있는 분들을 보면, 이쪽도 영 참고 보기가 괴롭습니다.”

- 7월 1일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中

 

 

+) 세계문학전집 시리즈를 우습게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물론 간혹 지루하고 고루한 것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게중에 가슴을 울리는 작품들이 꽤 많다. 너무 오래된 고전 아니냐고 묻는 사람들도 있는데 어차피 그 시대의 사람들이나 현재의 우리나 인간이라는 점에서는 같고 그렇기에 문학은 인간의 이야기라는 것에 다른 점이 전혀 없다. 따라서 세계문학전집을 읽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괴테가 쓴 이 책을 오랜만에 다시 보면서 베르테르의 감성이 알베르트의 이성과 대립되는 구도가 꽤 흥미로웠다. 이성적인 시각이 주를 이루었던 봉건 사회에서 이성주의자 알베르트에 대립하는 감성주의자 베르테르의 대화는 읽는 이에게 판단을 맡긴다. 약혼자(알베르트)가 있는 리테를 사랑하는 베르테르는 사회 윤리에서 어긋나는 사랑을 시작하여 괴로워한다. 그것은 도시를 배경으로 펼쳐지는데 도시라는 공간은 그 시대, 그러니까 봉건적이고 전통적인 사회를 상징한다.

 

결국 도시의 구속과 억압에서 벗어나 자연을 선택한 베르테르는 그곳을 자유의 공간으로 인식한다. 베르테르의 사랑은 사회의 관습과 윤리, 규범, 이성과의 갈등을 벌이며 그가 죽는 것을 선택하는 순간까지 대립한다. 비극적 결과로 끝나지만 새삼스럽게 인간의 감성과 사랑, 그리고 형식적인 절차나 틀에 박힌 시선에 대해 씁쓸한 생각을 되새기게 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