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들 세계사 시인선 107
송재학 지음 / 세계사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닭, 극채색 볏'

 

 

볏을 육체로 보지 마라

좁아터진 뇌수에 담지 못할 정신이 극채색과 맞물려

톱니바퀴 모양으로 바깥에 맺힌 것

계관이란 떨림에 매달은 鍾이다

빠져나가고 싶지 않은 감옥이다

극지에서 억지로 끄집어내는 낙타의 혹처럼, 숨표처럼

볏이 더 붉어지면 이윽고 가뭄이다

 

 

송재학, <기억들> 中

 

 

+) 오래전 도서관에서 우연히 집어 들고 한참을 서서 읽었던 시집이다. 기억나는 시는 '평정을 잃으면 소리를 낸다'라는 시였는데 몇 년 전 읽었을 때와 사뭇 다른 느낌이다. 이 시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꽃과 나무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 아니, 꽃이름과 나무이름 같은 자연을 많이 알고 있다면 훨씬 더 가슴에 와 닿았을 시집이다. 가끔 사람들이 꽃 이름을 모르면 작가가 될 수 없다고 하는데, 그 말이 이해할 수 없었으나 이젠 가끔씩 새삼스럽게 고개가 끄덕여진다.

 

이 시집에는 꽃과 나무에 깃든 영혼과 인간의 영혼을 나누지 않는다. 즉 자연과 인간을 나누지 않고 자연스럽게 하나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특별히 '너' 혹은 '나'라고 칭하는 대상도 굳이 사람으로 볼 필요는 없다. 사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바람 혹은 나무일 수도 있으니까. 육체와 정신을 나누지 않고 한 몸에 두는 것처럼, 시인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엮고 있다. 그것에 굳이 커다란 테두리를 만들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영혼이 사람에게만 한정되는 것이라 여겨서도 안된다.

 

경계라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생겨나는 것인가. 시인은 애초부터 경계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곧 주변의 자연이며 사물이고, 자연이 곧 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이 시집을 읽으며 내가 모르는 꽃과 나무들에 대해서 좀 더 적극적으로 알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