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을 힘을 다해 액셀러레이터를 밟았다. 차는 그저 떨어지지 않은 채 제자리걸음이었다. 하지만 언제 떨어져내릴지 모르는 일이었다. 떨어져서 시궁창에 처박히게 될지 모른다. 나는 죽음보다 그 시궁창이 더 무서웠다. 그 떨어지는 맹렬함, 이것이 추락이구나 생각하면서 떨어져내려야 하는 그 순간을 인정해야 하는 그것이 두려웠다. 기를 쓰고 액셀러레이터를 밟아대면서 문득 여기가 어딜까 나는 밖을 내다보고 있었다. 맙소사, 나는 표지판 위로 차를 몰아왔던 것이다. 길이 아니라, 길을 표시해놓은 표지판 그 위로....... -[꿈] 그녀는 그에게 아무 것도 줄 수가 없었다. 무엇인가를 받지 못했을 때가 아니라 주고 싶은 사람에게 아무 것도 줄 수 없을 때 사람은 가장 슬플 수도 있다는 걸 그 쳐자는 그때 처음으로 깨달았다. -[무엇을 할 것인가] 목숨을 걸 수도 있다고 말한 적이 있었지. 그래, 분명히 그렇게 말했고 난 정말 그럴 수도 있었을 거야. 그렇지만 일상을 걸 수는 없었어. 자잘한 나날들을 건다는 건 목숨을 거는 일보다 더 힘들었어. 나의 미래...... 나의 젊은 날...... 젊음을 건다는 건 미래를 거는 일이고 일상을 건다는 건 언제까지 이어질지도 모르는 삶을 거는 거잖아....... 목숨을 거는 일이 차라리 쉬웠을거야...... 하지만 나는 정말 목숨이라도 걸고 싶었었나? -[무엇을 할 것인가] 그녀가 그 검은 눈으로 다시 그를 돌아보았다. 그것은 전혀 방어가 되어 있지 않은 눈이었다. 모욕에 대해서, 거짓말들과 가면에 대해 면역을 가지지 못했던 시절이 그에게도 있었다. -[무거운 가방] 공지영 소설집, <인간에 대한 예의> 中 +) 작가에게는 당황스러움일지 모르나 난 언제나 작가들의 첫 소설이 궁금하다. 이 사람의 처음과 현재가 얼마나 다른지, 그대로인지, 그렇다면 무엇을 주목해야 하는지. 아마도 작가들은 나같은 독자가 싫을 지도 모른다.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서 무엇을 아는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게 더 많은 독자가 글쓰는 것을 궁금해하니 말이다. 공지영이 낸 첫 소설집 <인간에 대한 예의>는 대부분의 화자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스스로를 규정하는 것에 망설이며 자기를 부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것은 시대나 사회에 원인을 두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개체들의 혼란으로 이어진다. 이 책의 단편들에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인물들의 군상이 많다. 그건 어쩌면 글쓰기를 처음 시도하는 공지영의 내면이 아니었을까. 알다시피 그녀가 겪었을 시대적인 고민은 아니었을까. 나는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예의]를 읽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손끝이 떨려옴을 느꼈다. 감옥에 갇혀 살던 사람의 삶이 온몸으로 전해졌다. 이런 감정을 끌어낼 수 있는 힘은 공지영의 필치에서 온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