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칠한 가족 - 과레스키 가족일기
죠반니노 과레스끼 지음, 김운찬 옮김 / 부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정말 이상한 일이에요. 아직 사는 데에도 익숙해지지 않았는데 벌써 죽는 데 익숙해져야 해요. 우리는 깎아지른 절벽의 바위 위로 난 좁다란 오솔길을 걸어가고 있어요. 필사적으로 땅에 붙어 있어야 하는데, 심연 속의 영원함에 매력을 느껴요. 때로는 몸을 내밀고 영원의 심연을 들여다보고 싶은 욕망을 느껴요."
  "그래요, 마르게리타."
  나는 말했다.
  "우리는 거의 신경을 쓰고 있지 않지만, 절벽 가장자리에는 이런 팻말이 세워져 있지. '몸을 내밀면 위험합니다.'"
p.16
 
선물을 살 때 사람들은 가장 자기 마음에 드는 것을 사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진짜 선물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 하게 된다. 왜냐하면 우리의 삶에서 가장 큰 기쁨을 주는 것은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는 사실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중요한 것은 소유가 아니라 정복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구입한 것을 선물하는 것은 또 다른 기쁨이며, 선물을 받는 것은 훨씬 더 큰 기쁨이다. 받는다는 것은, 비록 좋아하는 것을 받을지라도 언제나 조금은 멋쩍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물을 받을 때 언제나 좋아하는 것만 받는 것은 아니다.
p.88
 
 
조반니노 과레스키, <까칠한 가족 ; 과레스키 가족일기> 中
 
 
+) 조반니노 과레스키의 자전적 소설인 이 작품은 유머러스하고 조금은 까칠한 그의 가족 이야기다.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아들과 딸이 사는 이야기인데, 읽고 있노라면 '오쿠다 히데오'가 제시하는 유머와 재치가 잘 드러난다. 하지만 그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는 살아가며 가끔씩 부딪치는 고민들과 가족들에게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살펴볼 수 있다. 아이들의 한 두마디에도 어른들의 시각과의 차이를 발견하게 되며 부부간의 문제에서도 남자와 여자의 시각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
 
조반니노는 유명한 소설가이나 집안에서만큼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사람으로 취급받는다. 엉뚱하지만 빈틈없는 논리성을 갖춘 아들과 딸의 아버지이기에 진땀을 흘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마르케리타는 한번 시작하면 멈추지 않는 상상으로 감수성을 지나치게 자극시켜 자신과 아이들까지 감성의 늪으로 잡아두는 엄마이다. 2% 부족한 철없는 엄마의 모습을 가끔 보게 되는데 귀엽네,하고 넘길 수 있는 개성적인 여성이다.
 
알베르티노는 아버지가 쓴 책을 읽고, 아버지 앞에서 '별로'라거나 혹은 '급하게 대충 썼네'라고 평가하는 무서운 아이돌이다. 열살 남짓의 나이에도 아버지나 어머니를 관찰하는 시각이 날카로우며 삶의 난관들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난 아이다. 파시오나리아는 영리가하고 귀여운 소녀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아버지 혹은 오빠에게 조리있게 설명하고 주장을 펼칠 줄 아는 아이답지 않은 면모를 가졌다. 이제 겨우 여섯 살 정도의 아이지만 그녀의 주장에 반박하기란 절대로 쉽지 않다.
 
이 유쾌한 가족 이야기를 전철에서 읽으며 풋,풋, 웃어대다가 사람들의 묘한 시선을 받았다. 오쿠다 히데오의 작품에서 정신과 의사만의 독특한 위트와 재치를 발견할 수 있다면, 조반니노의 작품에서는 촌철살인의 유머와 지혜가 가족 별로 발견할 수 있다. 두 작가의 작품이 묘하게 닮았다는 느낌은 왜 일까. 어쨌든 소설이나 그들 가족의 실상을 보여주는 이 책에서는 유머러스한 그러나 탄탄한 논리를 따라가는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