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있으나마나 한 존재이면서 있었고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이면서 지금처럼 없기도 했다. 동네 사람들은 그를 바보라고 했다.
-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걘 구제불능이야. 어떻게 해도 안돼. 안해도 안되고 해도 안돼. 나는 지금 걔를 이해할 능력이 없어.
- [천애윤락]
 
사귀기에는 서로 다르다는 것이 같은 것보다 낫다. 물이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르듯, 뜨거운 부위에서 차가운 부위로 열이 옮아가듯 움직임이 있다. 서로 비슷해져서 고여 있는 물 같은 상태보다, 알 것 다 알아서 미지근한 관계보다는 낫다.
- [욕탕의 여인들]
 
노름은 믿음이다.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의 운에 대한 믿음, 노름의 일회성에 대한 믿음, 인생의 일회성,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노름을 하게 한다. 누구의 믿음이 큰가, 철저한가에 따라 이기고 진다. 그렇지 않은가, 사막에서 길게 그림자를 늘어뜨리고 한숨짓는 나그네여. 누군가 사막을 울림통으로 삼아 이렇게 속삭였다. 그게 누구인지는 말할 수 없다. 나도 그가 누군지 모른다.
- [꽃의 피, 피의 꽃]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中
 
 
+) 위의 글을 보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성석제의 언어유희는 일품이다. 단순한 말장난이 아니라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을 연쇄적으로 나열하며 변형시키기도 하고 뒤집기도 한다. 그 사이에서 문장이 만들어지는데 그것을 가만히 읽고 있자면 역설적이거나 혹은 반어적인 표현들에 독자들은 흡수당한다.
 
가끔은 고전적인 소재들을 끌어 들이기도 하고, 또 현대의 밑바닥 소재들을 소설로 형상화하기도 한다. 천상 이야기꾼인 작가가 만든 작품은 다양한 소재만큼이나 흥미롭다. 주로 짧은 문장들로 치밀하게 써내려가는 그의 필치는 까다로워보이기도 하지만, 작품마다 웃음을 터트리게 만드는 부러운 재주가 그를 편한 작가로 바꿔버린다.
 
물론 작중인물의 행동이나 결말에 의문이 남을 때도 있다. [천애윤락]의 동환이 "사람들을 자유롭게 해주고 싶었어."라는 말로 그간의 일을 대신할 때, 도대체 그 자유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한참을 고민하게 만든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작가의 부족함으로 치부하기 보다, 열린 가능성으로 남겨두고 싶다. 독자에게 맡긴 것을 굳이 거부할 필요는 없으니까.
 
어시장에서 이제 막 잡아올린 신선한 물고기같은 그의 작품들이 좋다. 그것은 그가 독자로 하여금 소설을 손에서 뗄 수 없게 하는 재미와 몇 번이고 다시 읽으며 생각해야 하는 꺼리를, 동시에 던질 줄 아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