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사랑한 고양이 시시
슈테파니 츠바이크 지음, 안영란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그러나 나는 모욕을 용납하지 않고, 원래 모욕감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하등의 가치가 없음을 알기에 그것을 거부한다.
p.11
인생에서 누군가를 알아가는 까다로운 처음 단계에서는 절대로 그때까지 드러난 인간의 성격과 과거를 이용해 그 사람을 길들이려 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한 집에서 편하게 살기에는 젊을수록, 그리고 단순할수록 좋다.
p.31
 
나는 속으로 '삶이란 단지 현명하고 비축된 사고만으로 진행되는 건 아니다'라고 자신을 달래면서 자리를 떴다.
p.114
 
다시 말해, 불청객 게오르그가 그 날 내게 확실히 가르쳐준 게 있다면 삶은 주저하고 망설이는 자에게 벌을 내린다는 사실이다. 특히 사랑에 있어서.
p.121
 
그러니까 사랑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사람들이 그토록 많이 입에 올리고, 수없이 한숨짓고 노래하는 사랑....... 나는 이런 사랑이란 싱싱한 연어 한 토막만도 못 하고 몇 차례 후려갈겨 떠나보낼 정도의 가치만 부여하고 싶다.
p.125
 
슈테파니 츠바이크, <나를 사랑한 고양이 시시>
 
 
+) 고양이 한 마리라고 우습게 보아서는 안된다. 시암 고양이 '시시'는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보다 우위에 존재한다.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인간의 삶을 꿰뚫어보며, 그들의 잘잘못을 가릴 줄 안다.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인간은 무지한 존재들이며 그것을 이해하는 인간은, 그러니까 시시와 대화가 통하는 인간은 고귀한 존재가 된다.
 
시시는 '울리아'를 만나 함께 생활하면서, 자신이 율리아와 함께 해주고 있음을 잊지 않는다. 그들의 생활에서 주체는 시시지 율리아가 아니다. 시시는 주인을 선택한 고양이이며 인간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는 고양이이다. 이 책은 시시의 독백으로 전개되는데 읽고 있자면 정확한 통찰력에 탄식을 자아내게 한다.
 
인간이 아닌 동물의 시선으로 인간의 심리와 인간의 삶을 관찰하는 시선은 흥미롭다. 인간적인 시선을 배제하고 중립의 시선에서 아무 것도 모르는 천진난만한 시선까지 이어진다. 솔직하다고 해야 할까. 사실적이라고 해야 할까. 가끔 시시가 토로하는 인간과의 동거에 대해 충분히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은 고양이의 시선을 세밀하게 이끌어낸 작가 때문일 것이다. 유쾌하게 읽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