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인생은 내기다. 이건 진짜라네. 나이만은 먹을 만큼 먹은 우리가 하는 말이니까 틀림없어. 어느 정도 차이는 있지만 나름의 위기를 헤쳐왔으니까. 인간은 한순간, 한순간 내기를 하면서 살고 있네. 순간순간을 선택하면서 산다고 바꿔 말해도 되겠지. 자네는 간장맛 쌀과자를 골랐네. 이 가네코 신페이가 12배로 건 긴고도의 참깨과자가 아니라, 잇사키 류세이가 3배로 건 '소프트 샐러드'를 집었어. 사메시아 고이치는 그것을 자기 의사로 골랐을까? 아니면 누군가가 고르게 했을까? 그것은 오직 신만이 아는 영역이네만, 자네는 이처럼 흐르는 시간과 공간 안에서 죽음이 찾아오는 마지막 순간까지 선택을 계속하는 것이네."
pp.26~27
 
"좋은 글을 읽는다는 건 쓰는 것과 같으니까. 아주 좋은 소설을 읽다가 행간에 숨어 있는 언젠가 자기가 쓸 또 하나의 소설을 본적 없어?  그게 보이면, 난 아아, 나도 읽으면서 쓰고 있구나, 하고 생각하거든. 또 행간에서 그런 소설을 볼 수 있는 소설이 나한테는 좋은 소설이고."
p.150
 
나는 장편 소설을 쓰기 전에 영화 포스터 같은 예고편을 쓴다. 정식으로 레터링을 해서 제목을 쓰고, 일러스트를 그리고, 카피를 쓰고, 줄거리를 쓴다. 이것을 쓰고 있을 때가 가장 즐겁고 가슴이 설렌다. 예고편을 쓰고 있노라면 언제나 요시하라 사치코의 시 한 구절이 떠오른다. "쓰기 시작하면 안 써지는데, 쓰기 전에는 써지려고 한다." 딱 이런 심경이다.
p.309
 
어째서 인간은 '잘 된 이야기'에 감명을 받을까? 이야기의 내용에 감동하는 것은 이해가 된다. 부모자식 간의 사랑, 삶과 죽음의 갈등, 아낌 없이 주는 사랑. 주인공의 입장이 되어 감정이입한다. 그것은 알겠다. 하지만 '잘 된 이야기'에 대한 감동은 이것과는 조금 다른 것 같다. 그 감동은 모든 것이 제자리에 들어맞았다는 쾌감이다. 어째서 쾌감일까? 그리고 '잘 된 이야기'를 다 듣고 나면, 아주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던 이야기 같은 착각을 하는 것은 왜일까?
p.343
 
온다 리쿠, <삼월은 붉은 구렁을> 中
 
 
+) 이 소설은 마치 판타지 같다고 평가받곤 하는데, 나는 오히려 추리소설에 더 가깝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결코 가벼운 소설은 아니다. 무엇보다 책속에서 책에 대해 논하는 장면과 글을 쓰는 사람, 글을 읽는 독자, 글을 편집하는 편집자의 내면 심리를 서술하는 부분은 단연 압권이었다. 모처럼 작가, 독자, 편집자의 입장 모두를 살펴볼 수 있던 좋은 기회였다. 책의 초반에 인물간의 대화 장면에서 이런 대사가 있었다.
 
"독서란 본래 개인적인 행위니까 어쩔 수 없는 일이죠. 무엇보다도 우리는 우리가 책을 좀 읽는다고 자만하는지도 모르지만, 사실 이것도 터무니없는 환상이에요. 인간이 한평생 읽을 수 있는 책은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이거든요." 그는 곧이어 서점에서 발견한, 계속 읽어야 할 많은 책들을 보며 절망한다고 했다. 이 부분에서 묘한 기분을 느꼈는데, 나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나라는 사람은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 수없이 많은 책들을 바라보며 읽고 싶은 욕망에 들뜬 기분이 되어 움직인다. 평생 책을 읽으며 살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며 말이다.
 
이 소설은 장편소설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구성력이 뛰어난 작품이다. 간혹 좀 지루한 면이 없지 않으나 그것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으로 이겨낼 수 있다. 게다가 작가의 사상 또한 훌륭하다. 그러나 그가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면모를 작품에서 원했다면 나는 좀 망설여진다. 오히려 그보다 덜 신비롭고 그보다 덜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의미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른을 위한 동화가 유행한 적이 있다. 나는 그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그런 종류의 책을 살리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은 동화 보다는 판타지, 판타지 보다는 추리에 가까운 소설이다. 책을 소재로 다루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문학적이기도 하다면 내가 너무 좋은 평을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