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 체험 - 템플스테이
유철상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며 비우는 것이 궁극적인 자비 명상의 완성이다. 그렇다고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목적을 가지라고 강요하진 않는다. '자신을 비우겠다'는 목적을 정하면 그것은 이미 명상이 아닌 집착이 되기 때문이다.
p.119
"참선이라는 것은 희로애락의 파도가 치지 않도록 고요하고 평정하게 안정된 마음의 터를 닦는 것이다. 무명에 가려 스스로 깨닫지 못하고 착각 속에 살고 있는 우리지만 어디서든 누구나 열심히 참구한다면 만법을 포용하는 자기 생명을 회복해 참삶을 살고 있다."
"참선은 자기에 대한 물음이고, 또한 인생에 대한 물음표다. 다시 말해 커다란 의심을 품고 화두를 참구하는 것이 간화선이다. 어떻게 해야만 자기의 자성을 올바로 알 것인가? 무엇이 과연 내 참마음인가? 인생이란 도채체 무엇인가? 이를 항상 궁구하는 것이 간화선 수행의 시작이다."
pp.166~167
공간은 시간의 일기장이다. 옛집과 옛길엔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이 묻어난다. 오래된 공간일수록 더욱 그렇다. 오래된 공간으로 대표되는 절집은 건물 자체로도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기록되지만 여행객들에게는 휴식과 사색의 공간을 내준다.
p.90
유철상, <템플스테이 -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체험> 中
+) 이 책에는 21개의 절이 소개되어 있다. 대부분 서울에서 먼 곳의 절이지만 크고 유명한 곳이 많다. 템플스테이 일정과 각 절마다 특별한 점을 부각시켜 적은 것이 장점이나, 한 두 곳의 지역에 있는 절을 소개하고 있는 한계를 갖고 있다. 아름다운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 벌써 그 절에 가 있는 기분이었다. 그런데 좀 작고 사람의 자취가 적은 절은 없을까.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