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잔
김윤영 지음 / 실천문학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이봐. 사람들은 기회가 와도 말야. 한쪽 발은 늘 딴 데다 단단히 걸쳐놓는다고. 겉으로 보이는 게 다가 아니야. 저 치가 한쪽 발까지 마저 뗄 것 같애? 어림도 없지. 잘못해서 헛디디면 몰라도. 저것도 다 젊어서 그런거야."
[얼굴 없는 사나이]
확실히 해두자면, 나는 개인주의자라기 보다 현실주의자다. 너무 일찍 그걸 알았다는 데 조금 문제가 있었을 뿐이다. 안 될 싸움을 굳이 하거나 되지도 않을 유토피아에 목숨을 거는 일을 이해는 하지만 나는 동참하기 싫었다. 무지개는 언덕 너머에 있는데 왜 여기서 무지개를 찾느냐는 말이다. 나는 그저 나만의 스타일을 찾고 있었다. 이건, 절대로 발이 땅에 닿아 있지 않은 그런 유의 이야기가 아니다. 허황되고 낭만적이기만 한 그런 꿈은 나도 경멸한다. 나는 현실주의자다. 하고 싶은 여행을 계속하면서, 이렇게 사람들과도 어울리며 사회의 일부로 일을 하면서 서서히 내 스타일을 찾는 것뿐이다.
[타잔]
나는 이게 뭐 하는 짓인가, 하면서도 땀을 뻘뻘 흘리며 걷고 계속 걸었다. 이렇게 무작정 뒤지기만 해서 될 일이라면 안 될 일이 어디 있을까. 내가 찾는 건 호텔 키가 아니라 내 인생의 방향 같았다. 내 판단력이란 것도 그리 믿을 만하지 않다는 걸, 나는 진즉 알고 있었다.
[타잔]
김윤영, <타잔> 中
+) 김윤영의 글을 처음 접한 것은 [얼굴 없는 사나이]라는 작품을 통해서다. 낯선 소설가의 이름을 내 머릿속에 뚜렷이 새긴 작품. [얼굴 없는 사나이]는 최근 내가 읽은 단편 소설 중에서 최고라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빈틈없이 잘 짠 스토리의 구성이 마음에 들고, 자칫 식상할 수 있는 현대인의 일상을 다루면서도 파격적인 사건의 전개가 일품이다. 게다가 문장에서 묻어나는 삶에 대한 허심탄회한 작가의 생각은 어쩐지 나라는 사람과 흡사하단 착각까지 일으킨다. 나는 그것이 이 작가가 갖고 있는 최고의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어쨌든 그로 인해 나는 김윤영의 소설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타잔>은 김윤영의 소설집이다. 8편의 단편 소설이 엮어 있는데, 책을 읽는 내내 작가가 혹시 유학파이거나 이민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다루고 있는 이야기들이 외국을 배경으로 삼거나, 혼혈아의 경험, 외국 여행 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혹시 그것이 작가의 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유달리 김윤영의 문장은 깔끔하다. 군더더기 없이 할 만만 쏙 하는 말투는 작품과의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어찌보면 냉정하다고 판단할지 모르겠으나, 독자의 입장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작가의 태도는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로 편안함을 준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움은 남는다. [얼굴 없는 사나이]의 단편이 너무 강렬했던 것일까. 무릎을 탁 치며 '아'하고 탄성을 뱉게하는 작품은 [타잔] 정도라고 해야 할까. 어쩌면 내가 너무 기대했기 때문일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이 두 작품 이외의 것들은 어쩐지 아쉬움이 남는다. 나는 왜 소설을 읽으면서 꼭 울림을 기대하는 것일까. 이성적으로든 감성적으로든 인상에 남는 작품이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머리를 울리든 가슴을 울리든. 어쨌든 이 작가의 장편소설을 찾아 읽어보기로 결심했다. 단편과 장편의 차이는 또 새로움을 만들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