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미술관 - 정혜신의 그림에세이
정혜신 지음, 전용성 그림 / 문학동네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풍요로운 노후를 보내고 있는 팔순 노인에게 '이제껏 살면서 가장 후회스런 것이 무엇인지'를 물었더니 '지나치게 심각하게 산 것'이라고 답하더군요. 그 말을 들은 후로 "더 늦기 전에 '열심히-슬슬' 살아야지~"하는 기묘한 희망을 키우는 중입니다.
 심각한 언어의 향연이라 할 만한 '가운'이란 장르 중에 인상 깊었던 어느 집 가운 하나를 소개합니다. 듣기만 해도 청량합니다.
 "아님 말고!"
 영화감독 박찬욱 댁의 가훈이랍니다.
p.21
 
사람에게는 완료에 대한 근원적 욕구가 있어서 종료되지 못한 일에 대해서는 남은 숙제를 풀려는 심리적 시도가 끊임없이 작동됩니다. 그런 연유로 영화의 결말을 보지 못했던 사람들은 결말에 대한 추측을 계속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영화를 더 또렷이 기억하게 되는 것이지요.
p.57
 
 재능이란 주머니 속의 송곳처럼 반드시 튀어나올 수밖에 없는, 내제된 힘입니다.  유대인들은 인간의 재능을 여덟 가지로 분류한다지요.
 언어, 수리, 음악, 미술, 체육, 인간 친화, 자연 친화, 자기 성찰.
 놀라운 것은 '자기 성찰'을 재능으로 본다는 사실입니다. 하긴 자기 성찰은 다른 재능들이 오래도록 정상 작동하도록 만드는 데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하니, 그렇게 본다면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절대파워를 갖춘 강력한 재능임에 틀림없습니다.
p.103 
 
"내 일은 내가 하고, 당신 일은 당신이 하는 것. 내가 당신의 기대에 따라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며 당신 또한 나의 기대에 따라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아닌 것. 당신은 당신, 나는 나. 우연히 서로를 발견한다면 그것은 아름다운 일. 그렇지 못할 땐 어쩔 수 없는 일."
p.149
 
정혜신, <마음 미술관> 中
 
 
+) 글에 따라 그림이 씌여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읽다보니 그게 아닌 것 같다.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글을 적은 것이다. 마음 미술관이란 제목이 따뜻한 햇살을 담고 있는 기분이다. 어렸을 땐 정신과 의사를 꿈꿨는데, 아마 지금 생각해보니 나는 상담 선생님이 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런데 내가 과연 누군가를 이해할 수 있을까. 공감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나를 발견하는 것이 어려운건데, 남을 발견하는 것은 더 어렵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