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취향 - 문예중앙산문선
강정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가난한 걸 즐기고 살면 행복해질 수 있어요. 5백 원을 가지고 있어도 지금 당장의 상황에 충실하면서 허깨비들이랑 어울리지 않고 자기 마음만 다지면 세상은 자기편이 되거든요. 자기 것을 가지고, 자기가 마음을 잡으면 돈도 들어올 거고. 이거 확실한 얘기예요. 난 살면서 마음을 딱 잡고 있으면 서서히 몸이 뜨거워지면서 돈이 들어온다는 걸 경험으로 알아요. 그리고 그게 순리인 것 같아요. 그러니까 세상에 불만 품을 것 없어요. 그저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면 돼요. 내 말 틀린 것 같아요?"
- 세상과 '안'싸우거나 '잘'싸우거나 : 전인권
 
감각이란 육체의 모든 결들을 포괄하는 정신의 땀구멍과도 같다. 좋은 시집은 그 미미한 숨결의 통로를 따라 물처럼 스미는 음악의 흐름과도 흡사하다. 그 순간 책을 보는, 그리고 책을 쥐고 있는 손에는 아무런 무게도 질감도 없다. 우리가 보고 만지는 모든 건 영원의 귀퉁이에서 자연발아했다가 가뭇없이 사라지는 바람의 맨살일 뿐이다.
- 바람을 닮은 음악, 생멸의 화석으로 드러나는 시 : 쌍깃 프렌즈와 허만하의 시
 
아이란 미성숙의 영혼이다. 그러나 그 미성숙은 영원한 가능성의 다른 이름이다. 아이에겐 세계의 모든 풍경을 오로지 자신의 발가벗은 영혼 속에 투영해내는 솔직함이 있다. 미성숙한 아이에겐 세계 또한 미완성의 영역이다. 랭보가 결국 추구했던 건 여전한 미지로 놓여 있는 삶의 가능성 앞에 자신의 전(全) 존재를 투여하는 것이었다. 사막으로 떠나는 그는 자신 속에 또 다른 아이를 깨워 다시 한번 영원에 바쳐지는 '새벽'(랭보 시의 가장 중요한 테마는 '새벽'이었다. 랭보에게 새벽은 삶의 반복된 개벽을 의미했다)을 만나고자 했다.
- 영원한 젊음의 시인 랭보
 
내가 아는 한, 대상은 결코 주체에 편입되지 않고 주체 또한 그 자체로 완벽한 통일체로서의 유일무이한 존재가 아니다. 시가 궁극적으로 노래할 수 있는 건 그 통합되지 않는 자아와 대상 사이에서 부글부글 끓고있는 모종의 에너지 덩어리로서의 불가능성뿐이다. 시적 자아란 그 불가능성을 잠정적으로 지시하는 순간적이고도 영원한 가면에 불과하다. 시인에게 시는 늘 삶의 저편에서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자기 자신의 불분명한 미래이자 수시로 시간 경계를 초과하며 재생성되는 과거일 뿐이다.
- 젊은 바퀴벌레 시인들의 은밀한 사생활
 
 
강정, <나쁜 취향> 中
 
 
+) 강정의 두번째 시집 <들려주려니 말이라 했지만,>을 읽었을 때, 나는 그가 천재적인 시인이 될 수 있는 자질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그의 시어는 가볍지 않은 용어이나 추상적이라고 단정짓기에는 뭔가 아쉬운 용어이다. 그 아슬아슬한 줄타기의 시인, 그때부터 나는 강정의 글에 관심을 가졌다.
 
<나쁜 취향>은 신문에 연재한 일종의 칼럼을 모은 책이다. 산문집이라고 평하기엔 좀 무겁기도 하고, 문화평론이라고 하기엔 좀 가벼운 느낌이 든다.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딱 한 가지가 부러웠는데, 그가 갖고 있는 엄청난 단어 사용 능력이다. 이 '엄청난'이란 말에는 중의적인 의미가 있는데, 철학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서슴없이 사용하는 심오하다는 뜻과 자연스럽고 자신감 있게 써내려간 많은 양의 단어량이다. 그의 어휘력은 정말이지 내가 꼭 갖고 싶은 능력이다.
 
음악, 시, 영화, 문학 등에 대해 그의 시선을 따라가보는 것은 즐거운 시간이었다. 다만, 신문에 연재한 글이라 그런지 책에 실린 글의 무게감이 너무나 비슷해서 좀 지루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나도 그처럼 문화의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고 싶다.  
예술에 대해 교양으로 알고 싶은 사람들은 읽기를 권한다. 맛보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