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미경의 딥마인드 - 열심히 살아봤지만 허무함에 지친 당신을 위한
김미경 지음 / 어웨이크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물론 잇마인드는 우리가 세상에서 생존하고 경쟁하며 꿈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엔진은 강력한 힘만큼 치명적인 부작용과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며 열등감을 부추기고 나를 꿈과 목표의 노예로 만든다.
내게 남은 선택은 하나였다. 나를 죽이는 말이 아니라 '나를 살리는 말'을 스스로에게 하는 것이다.
나는 순순히 그 목소리를 따라갔다. 그것이 진정 나를 사랑하는 목소리라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았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이 목소리는 나를 위한 가장 지혜로운 해답을 내주곤 했다. 또 내가 매일 감사한 일을 찾고 스스로를 칭찬했듯 이 존재 역시 끊임없이 나를 위로하고 응원하며 다시 일으켜 세워주었다.
나는 이 존재에 '딥마인드 엔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2~3%
열심히 살다 보면 성공만 쌓이는 게 아니라 결핍도 쌓인다. 인생의 밸런스가 깨지면 가족, 인간관계, 건강 등 인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망가져 버린다.
12%
나도 딥마인드로 피드백 루프를 만들었다. 그것이 바로 'bod루틴'이다. 매일 딥마인드로 나 자신과 대화being하고 여기서 나온 미션을 스케줄에 오거나이징organizing하고, 몸으로 실행doing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내 안의 딥마인드가 매일 자동으로 진화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든 것이다.
29%
bod하우스의 형태는 1개의 지붕과 4개의 기둥으로 되어 있다. 하우스를 구성하는 이 5가지 요소의 내용은 모두 똑같다. 각각의 라이프 섹션과 자기 선언 그리고 구체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5가지 중 지금 가장 시급하거나 집중해야 할 라이프 섹션을 지붕으로 올린다. 만약 5개의 비중이 비슷하다면 굳이 지붕으로 올리지 않고 기둥을 5개로 만들어도 좋다. 중요한 사실은 지붕을 위해 나머지 기둥이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기둥은 지붕을 서포트하기 위해 있는 게 아니라 그 자체로 중요하며 고유한 가치가 있다.
69%
김미경, <김미경의 딥마인드> 中
+) 이 책은 번아웃 상황에서 스스로를 다독이는 소리를 들은 저자의 경험에서 시작된다. 강연의 대가인 김미경을 생각하면 우리는 열정과 희망, 꿈 등의 단어를 떠올린다. 그만큼 그녀의 이미지가 활기차고 유쾌하며 쉼 없이 전진하는 모습인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고백한다. 그렇게 열정적으로 달려온 자신의 삶은 잇마인드의 주도로 이루어져 왔다고. 잇마인드의 주도 하에 꿈을 찾는 건지 꿈에 쫓기는 건지 모르게 지내왔다고. 그러다 보니 저자는 점점 불안과 초조로 점철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심각한 번아웃 증상과 무기력감에 시달린다. 그리고 어느 날 딥마인드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 딥마인드는 스스로를 다독이며 저자에게 멈춤과 쉼 그리고 자기를 사랑하라는 인식을 심어준다.
잇마인드의 양면성으로 우리는 우리의 인생에서 발전해 가는 만큼 힘들었다면, 딥마인드는 여유를 즐기는 자세와 스스로를 사랑하는 태도로 이끌어준다.
딥마인드를 구조화하기 위해 저자는 자기 인식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스스로가 어떤 점에서 흔들리는지, 그걸 바꿔보려면 어떤 마음이 필요한지, 그리고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부터 찾아 루틴으로 만들어 생활화할 것을 권한다.
이 책은 앞으로 나아가는 힘만큼, 애쓰고 있는 스스로를 사랑하며 응원하는 태도도 중요하다는 걸 가르쳐 준다. 우리는 모두 쉽지 않은 세상을 견디며 살아가고 있다. 매 순간을 감당하고 있는 스스로를 위해 자신을 칭찬하고 응원하는 게 필요하다.
저자가 말한 자기 인식과 자기감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우리의 삶을 좀 더 평온하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 나부터 챙기고 사랑해야 주변인들과의 관계도 원활해질 수 있다.
이 책은 딥마인드를 구조화하는 방법과 딥마인드 방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례를 볼 수 있다. 딥마인드 루틴이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어서 모방해 실천해 볼 수도 있다. 자기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싶은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