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N HR: 당신의 스타트업은 안녕하십니까
이용훈 지음 / 한빛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미션/비전)가 무엇인지에 따라 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방식(핵심가치/일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이러한 접근 방식에 따라 어떤 사람(인재상)과 함께해야 할지, 어떤 조직 형태(조직 구조)를 선택해야 할지 결정된다. 그리고 일하는 방식은 HR 원칙을 수립하는 데 영향을 주고, HR 원칙은 조직 구조와 더불어 어떤 식으로 운영해야 할지 구체적인 HR 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pp.21~22

거창하게 돌려서 말하긴 했는데 HR에서 올바른 결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는 전문성이 없어도 누구나 한마디씩 훈수를 둘 수 있는 영역으로 인지되고 있어서다.

약은 약사에게 맡기고 HR은 HR 직무 전문가에게 맡겨야 하는데 말이다.

p.32

HR이 중요한 이유는 HR이 회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기에 그 역할은 그리 대단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테면 필요한 시기에 적합한 후보자를 채용하고 조직문화와 일하는 방식을 가다듬어 성장의 속도를 높여주는 것, 구성원에게 적절한 보상과 복지를 제공하여 구성원의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이 흔들릴 때 구성원과 소통함으로써 조직을 안정시키는 것 등의 일 말이다.

p.39

최근 경영 환경에서 중요한 것은 의사결정의 정확성이 아니라 빠르게 실행하고 그 결과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타트업에서는 수평적으로 일하는 방식을 택하여 실행 횟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다.

일단 수평적으로 일하는 방식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개별 직무에 있어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직무 전문가가 필요하다. 스타트업에서 높은 수준의 인재 밀도를 유지하려는 이유는 개별 구성원에게 업무 자율권과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p.77

  • 조직의 가치체계 수립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조언

- 조직의 과거 성공에 기여했던 가치를 채용해야 한다.

- 조직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 가급적 적은 수의 가치나 기준으로 구성해야 한다.

- 조직의 가치체계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다.

- 조직의 철학과 가치체계를 세우는 과정에서 벤치마킹은 적당히 하라.

pp.100~103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리더가 스타트업에서도 좋은 리더다.

리더는 앞장서야 한다. / 업무 역량 역시 뛰어나야 한다. / 뛰어난 업무 역량을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고 성장해야 한다. / 빠르게 이해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 빠른 의사결정은 도식화되지 않은 글과 말을 통해서도 사안의 맥락과 핵심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에서 비롯된다. / 리더라면 자신의 결정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 / 리더라면 동료의 짐을 덜어줄 수 있어야 한다. / 동료가 존경할 수 있는 리더여야 한다.

pp.126~131

HR이 평가 결과의 공유와 보상 결정에 관여하는 것이 효율적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직무 리더의 인사 관리 업무를 대신함으로써 직무 리더의 높은 시급을 상대적으로 낮은 시급의 HR로 대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뒤에서 다루겠지만 기능적으로 HR이 보상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가장 쉽고 적합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p.190

스타트업 HR 직무자는 어떤 역량을 가져야 할까?

요약하자면 HR 직무 역량의 기초가 탄탄하고 문화적합성이 뛰어난 직무자를 채용하면 된다.

HR 철학이 중요한 이유는 HR 직무자가 내리는 결정이 조직의 가치체계나 일하는 방식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pp.262~263

이용훈, <LEAN HR : 당신의 스타트업은 안녕하십니까> 中

+) 이 책은 HR 직무 전문가의 역할이 조직에서 왜 중요한지 다방면으로 설명하고 있다. HR은 인전 자원을 관리하는 업무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저자는 각 회사 특히 스타트업에서 HR 영역에 왜 의미를 두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스타트업 HR이 기존 조직 HR과 무엇이 다른지 언급하고, 스타트업 내 조직문화와 가치체계 수립 과정에 대한 조언을 한다. 또 스타트업 리더의 역할과 핵심 인재 관리 및 조직 문화 구성, 평가 및 보상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인재 채용 전략과 HR 운영 방식 등을 논의한다.

저자의 말처럼 HR 직무 전문가가 각 회사의 목표, 가치, 문화 등을 분석하여 인적 자원을 관리한다면 조직의 효율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일종의 거리두기라고 생각하는데, 조직 내 일원은 객관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외부 전문가를 기용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본다.

물론 HR 업무를 관례적으로 처리하는 사람이 아닌, 회사의 미래를 생각하여 근본적인 부분부터 현실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며 그 회사의 발전 가능성을 연구하는 HR 직무 전문가와 함께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게도, 그 회사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도 모두 의미 있는 일이다.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인재 구성과 일하는 방식의 차이가 성장 가능성을 판가름하기 때문에 HR 전문가의 역할이 꼭 필요하다.

이 책은 스타트업 리더를 비롯하여 여러 회사 내 HR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나, HR 운영 방식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이 읽으면 도움이 될 듯하다. HR 직무의 역할이 왜 중요한지, 조직과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배울 수 있는 책이었다.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