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미리 보는 핵심 키워드 7
뉴시스 경제부 지음 / 원앤원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부에서 가구 소득을 계층별로 분류할 때 1분위부터 5분위로 나눕니다. 여기서 1분위는 소득 하위 20%로 저소득층이라 불리지요. 반대로 5분위는 고소득층, 즉 소득 상위 20%의 구간을 뜻합니다.

p.54

경상수지도 무역수지처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수치를 다룹니다. 다만 무역수지가 단순히 상품 무역에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다룬다면, 경상수지는 상품 서비스 무역은 물론 이자와 배당금 등 큰 범위를 포함합니다.

p.97

- 기저효과 : 경제지표가 좋고 나쁨을 평가할 때, 이를 절대적인 것이 아닌 비교하는 상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효과를 말합니다.

정부나 전문가, 언론 등에서 자신의 주장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해 비교 대상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저효과가 나타나곤 합니다. 통계를 왜곡해서 해석하지 않도록 '기저효과가 아닌지'를 잘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p.108

시스템 반도체와 팹리스(반도체 설계가 전문화된 기업) 시장은 여전히 미국의 힘이 강하지만, 메모리 분야와 파운드리(반도체 제조를 전담하는 생산 전문 기업) 분야의 주도권을 가져온 한국은 전 세계 시장에서도 영향력이 막강합니다.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시스템 반도체는 중앙처리장치(CPU)처럼 데이터를 해석, 계산, 처리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를 의미합니다.

pp.124~126

- 처분가득소득 : 소득-비소비지출로, 가처분소득이라고 합니다. 세금, 연금, 보험료, 이자 등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돈을 제외하고 가계가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p.201

- 합계출산율 : 가임기 여성(15~49세)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p.256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18%를 차지했습니다. 이미 국민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이라는 의미입니다.

p.263

뉴시스 경제부, <통계로 미리 보는 핵심 키워드 7> 中

+) 이 책은 에너지, 무역 현황, 차세대 미래 산업, 고물가, 일자리 및 고용 현황, 주거 대책, 교육 현장의 7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통계를 활용하여 현재 상황을 돌아보고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관련 소주제를 중심으로 중요한 핵심 개념을 알기 쉽게 정의하고 있기에 관련 분야의 기초 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된다.

또 통계 자료를 어떤 기준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해석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한 분야의 단편적인 모습만 볼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선으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책이라고 생각했다.

현재 관심 있는 분야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이용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내용이라고 느꼈다. 통계 자료 활용이 기본틀이기에 수치화된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고, 개인적으로는 통계 자료의 분석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더불어 관련 분야의 기초 지식을 개념 정의와 사실적인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어서 도움이 된 것 같다. 최근 2~3년 이내 우리나라 상황을 살펴보며, 근래 다가올 우리나라 모습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했다.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