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머릿속의 개들 - 제11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이상운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나의 중심을 그에게로 옮기면서 내 외로움은 오히려 더 커졌어요."
 "모든 만남은 원초적 고독을 가르쳐주죠."

                                                                            pp.80~81

 

 저는 절망하여 생각했습니다. 박사님, 욕망은 독재적인 것입니다. 민주적인 욕망은 없습니다. 그러니까 약육강식은 인간에게 합당한 체제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 체제는 그러면서도 모든 것을 교환할 수 있고, 교환해야 한다고 세뇌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전혀 교환하지 않으면서 말입니다.

 이 체제는 모든 것이 교환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은 교환 가능하다는 그 편집증만 교환할 수 있을 뿐입니다. 우리는 거기에 속아서 칼을 빼든 아둔한 검투사들일 뿐입니다.

                                                                                   p.92

 

 "자네 혹시 인간은 도덕적인 자들과 부도덕한 자들, 이렇게 두 종류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가?"

 "네, 어쩌면......"

 "틀렸네."

 저는 답을 기다렸습니다.

 "인간은 모두가 자기 이상을 실현할 능력이 없어서 타락과 타협을 거듭하다가 마침내 파멸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무력하고 비열한 존재라네."

 "네, 선생님."

 가느다랗게 한숨을 토해내고 나서 선생님은 말을 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두 종류인가?"

 "듣고 싶습니다. 선생님."

 "자신이 무력하고 비열한 존재라는 걸 알고 있는 자들과 그렇지 못한 자들이라네."

                                                                         pp.121~122

 

이상운,『내 머릿속의 개들』 中

 

 

+) 자본주의 세태에 대한 냉소와 풍자, 현대인들이 '인간'으로 판단하는 조건, 사랑과 욕망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 등이 바탕에 깔려 있는 소설이다.

 

무엇보다 비만으로 거대한 몸을 간직하며 살아가는 여자를 사랑하기 위해서, 그 여자를 변화시키기보다 그와 닮아 가려는 한 남자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상대가 변하기를 기다리기보다 자신이 변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머릿속에 들어 있는 개들을 아무리 꺼내도 끝없이 나오는 것, 그것은 욕망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욕망에 대한 집착이 '나'에게도, 누구에게도 '개'로서 형상화되어 드러나고 있다.

 

'장말희'가 집착하는 "설탕"이나 "사랑"은 사실 버릴 수 없는 욕망이다. 그녀가 집착하고 갖고 싶어하는 것. 주인공 '고달수'가 원하는 "돈"과 "여자"(섹스라고 해두자), '마동수'가 갈망하는 "그림"과 "섹스" 역시 마찬가지다. 그것들은 인간이 원하는 욕망의 하나로서 묘사된다.

 

거침없이 소설을 읽었지만, 다 읽고나면 제법 우울한 기분을 전달한다. 자본주의 세태이기 떄문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모두가 갖고 있는 욕망에 대한 집착을 확인하게 되기 떄문이다. 그리고 그 욕망의 끝이 얼마나 공허한 것인지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