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속도 한국 경쟁력의 뿌리 - 한국인의 빨리빨리 문화를 경제학으로 밝히다
임정덕 지음 / 흔들의자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변화의 속도 및 가속도는 인류가 피할 수 없는 과정이다. 그 변화를 우리는 보통 진보나 발전으로 정의해 왔다.

그런데 혁신 또는 기술 진보가 추구하는 속성 중 제일 중요한 것이 속도이다. 혁신은 지금까지의 방법보다 더 빠르게, 더 쉽게, 더 싸게, 더 좋게, 더 많이, 더 가볍게 만들거나 업무를 조직하고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나 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혁신이라 하더라도 그 결과나 아이디어를 다른 경쟁사보다 빨리 내놓지 않으면 그것은 쓸모없거나 유효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pp.15~18

기술 변화와 기술의 사회, 정치, 경제, 문화에 끼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책으로 <인에비터블>이라는 책을 쓴 저자 케빈 켈리는 다음의 12가지를 들고 있다.

새로운 무언가로 되어간다 / 인공지능이 사람처럼 인지화한다 / 고정된 것에서 유동적인 것으로 흐른다 / 현재는 읽지만 미래는 화면을 본다 / 소유하지 않고 접근한다 / 공유한다 / 나를 나답게 만들기 위해 걸러낸다 / 섞일 수 없는 것을 뒤섞는다 / 사람에게 하듯 사물과 상호 작용한다 / 측정하고 기록해 흐름을 추적한다 / 가치를 만들어낼 무언가를 질문한다 / 오늘과 다른 새로운 미래를 시작한다

위의 예측은 상당히 예리한 것으로 저자의 예측 방향으로 세계가 빠르게 변해가고 있으며 관건은 결국 그 진행 속도에 달려 있다.

pp.48~49

예외적인 예가 있기는 하지만 발전과 속도는 정비례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속도의 상대적인 증가가 발전을 가져온다고 정의하는 것이 맞으며 양이나 숫자 또는 비용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질적인 속성을 가진 대상까지도 속도와 관련해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p.61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선천적 능력에 더하여 속도감을 더하게 하는 한국인의 여러 가지 성격적 특성 중 두 가지만 별도로 뽑으면 남다른 성취동기와 신분 상승 욕구이다.

p.123

한국인이 가지는 빠름의 속성에 대한 논의

  • 신체조건 측면 ㅡ 체형 / 손놀림과 민첩성 / 젓가락 사용 문화

  • 성격과 능력 측면 ㅡ 빨리할 수 있는 능력 / 지능과 민첩성 / 흡수와 전파 속도

  • 속도를 내게 만드는 한국인의 성격 특성

  • 남다른 의지와 이룰 수 있는 능력

  • 가장 뚜렷한 성과와 대가

pp. 215~247

임정적, <K속도 한국 경쟁력의 뿌리> 中

+) 이 책은 한국의 경제 발전과 한국인의 경쟁력이 '속도'에 있음을 주장하며 그 근거를 정리하고 있다. 우선 저자는 속도와 가속도의 개념이 사회, 기술, 생활, 지식 등의 분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한다. 이를 통해 속도가 변화와 발전, 진보의 다른 이름이라는 것을 주장하며 여러 분야와 속도의 관계를 증명한다.

또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비교를 통해, 한국과 한국인만이 갖고 있는 빠른 속도감이 사회 발전과 산업 전반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야기한다. 더불어 K 문화콘텐츠의 현황과 전망을 언급하고, K속도의 양면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단점을 넘어서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여러 편의 소논문을 엮은 듯이 보인 책이었다. 각 장 별로 도표, 그래프를 분석하여 근거로 두고, 국내 및 해외 관련 다양한 사례를 실어놓았다. 한국인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필요한 K 속도의 가치를 주장한 책이었다.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