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온통 화학이야 - 유튜브 스타 과학자의 하루 ㅣ 세상은 온통 시리즈
마이 티 응우옌 킴 지음, 배명자 옮김, 김민경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9월
평점 :
유전자에서는 모든 정보가 코드화된다. 생명에 필수적인 정보뿐 아니라 생체시계에 대한 정보도 코드화되어 있다. 유전자가 단백질 생산을 조절하는 덕분에 유전자 코드가 읽히고 번역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유전자가 계획을 세우고 단백질이 계획을 실행한다.
p.40
명심하자. 농도는 언제나 맥락을 봐야 한다.
요약하면 이런 얘기다. 치약에 허용치로 함유된 불화물은 충치 예방에 좋고, 불화물을 과량 섭취하면 불소 중독증에 걸릴 수 있다. 요나스가 주장하는 솔방울샘 석회화는 전혀 근거가 없다.
p.77
모든 합성 계면활성제가 화학물질이라는 이유만으로 싸잡아 나쁜 제품 취급을 당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 애초에 천연비누와 화학비누로 구별하는 것 자체가 전혀 달갑지 않다. 내가 알기로 천연비누를 생산하는 과정 역시 화학이다. 물론 아보카도는 자연에서 왔다. 그러나 수산화나트륨 없이는 비누가 만들어질 수 없다.
천연이든 화학이든, 진짜 문제는 화장품 회사의 어처구니없는 마케팅이다.
p.93
한 가지만 인정하고 가자. 과학에는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대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과학은 명확한 사실을 제시한다고 믿고 싶겠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니다. 과학이 명확한 수치와 측정치를 제시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해석이 종종 너무 복합적이라, 사실이 자동으로 유추되진 않는다. 대개는 먼저 추측을 하고 이 추측을 실험으로 확인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아직 사실이 아니다. 그저 근거가 잘 마련된 추측에 불과하다.
p.102
과학에 흥미가 있다면 한 가지를 명심하라. 실험 결과가 어떤 방식으로 도출됐는지 알 수 없다면, 그 결과는 아무 의미가 없다.
p.121
천연 과일 향을 내는 분자의 구조를 알면, 자연에서 추출하거나 실험실에서 똑같은 분자를 직접 만들 수 있다. 이 중 실험실에서 만드는 것을 합성이라고 한다. 분자구조가 같다면, 자연에서 추출한 분자와 실험실에서 합성한 분자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p.214
마이 티 응우옌 킴, <세상은 온통 화학이야> 中
+) 이 책은 화학이 어렵다고 생각해서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권해주고 싶다. 우리 일상 속에 내재된 화학 반응들을 기본적인 화학 원소와 원리를 통해 다가가기 편하게 설명해준다. 화학의 넓은 분야를 정리하려고 애쓰기 보다 오히려 우리 생활과 관련해서 우리가 접하기 쉬운 부분들을 설명해주기 때문에 부담이 적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 두가지 화학 원리를 알게 되거나, 한 두가지 화학 반응의 이름을 기억하게 된 것만으로도 반갑다고 생각했다. 그런 방식으로 이 책에 접근한다면 흥미롭게 읽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