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나무의 속도는 느리지 않다. 속도는 시간을 재서 수치화하고 그것을 평가하는 개념일 뿐이다. 생물마다 나름의 속도가 있듯이 나무도 자유롭게 자신의 속도에 맞춘다. 나무는 우주를 관장하는 시간의 주기에 따라 자란다. 이 고요한 존재는 느리게 출현하고 끈기 있게 성장하면서 세상의 속도에 맞추는 것이다. 앞서지 않고 뒤처지지도 않으면서 순응한다.
p.51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은 삶과 환경 사이에서 서로 관계를 느끼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아닌 것에 마음을 열라고 요구한다.
식물이 그런 존재다.
이타성을 느끼는 식물의 감각은 식물 전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모든 형태의 생물에 대한 이러한 감각이 나무의 특징을 잘 설명해준다고 할 수 있다.
나무는 생명의 감각을 극대화하여 보여준다.
pp.76~79
다시 나무를 발견해야 할 때다.
나무를 다시 발견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이타성을 발견한다는 말이다. 우리 자신의 객관화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지 못하고 접근할 수 없는 부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이타성 말이다. 또한 나무의 엄청난 수명 앞에서 우리 삶의 덧없음을 느끼는 것이다. 그러나 나무가 세상의 아름다움 속에서 항상 안정을 가져다주지만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하자.
매우 특이한 동물인 인간은 나무와의 비교를 통해 어느 것도 자신에게 맞지 않는 세상 한가운데서 느끼는 거대한 고독을 마주할 수 있다.
p.197
나무는 항상 자기중심에서 벗어나 편견 없이 지속적으로 화합하고 언제까지나 미완성인채 성장했다. 우리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훌륭하고 살아 있는 형상을 보여주면서 말이다.
p.202
자크 타상, <나무처럼 생각하기> 中
+) 이 책의 저자는 인간이 나무의 생애를 보며 많은 것을 배워서 더 나은 삶을 살기를 바란다. 식물학자인 저자는 인간과 나무의 관계맺기를 아주 오래전으로 설명한다. 우리는 대표적인 식물인 나무와 함께 살아왔음을 이야기한다. 그렇기에 우리 안에 나무의 기질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나무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보며 우리도 그와 같이 살기를 권한다. 서두르지 않고, 환경과 분리되지 않고 공생하며, 다름을 받아들이고 날마다 성장하며, 고정되지 않고 소통하는 것. 이렇듯 우리 인간은 나무의 성장 과정에서 배울 것이 참 많다.
환경 오염이 심각한 요즘, 나무가 우리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더 절실히 느낄 수 있다. 이제는 나무를 이용하려는 측면이 아니라 나무와 함께 살아가는 벗으로 생각해야 할 시기다. 저자의 말처럼 이제 인간과 나무는 함께 공존해야 한다. 우리가 먼저 나무에게 손을 내밀어야 한다.
어렵게 쓰여진 책은 아니지만 나무와 관련된 인문학적, 과학적 지식들을 담고 있어서 천천히 읽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