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안 죽어 - 오늘 하루도 기꺼이 버텨낸 나와 당신의 소생 기록
김시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할머니들에게는 '소곤소곤'이지만 역시나 병원 어디서도 정확히 들을 수 있는 볼륨이다.

"언니!"

"응"

"오래 살어!"

"그래, 고마워. 동상도 오래 살어!"

진료가 시작되고 먼저 들어온 할매의 진료가 끝날 때쯤 끝내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묻는다.

"같이 오신 할머니하고 친하신가 봐요."

"누구?"

"아까 대기실에서 언니라고 부르던....."

"아, 친하지."

"같은 동네 사세요?"

"몰러, 오늘 첨 봤어."

그러더니 '원장님도 오래 살어.'라고 말하며 나간다.

p.64

'당신 덕분에 참 즐겁고 행복하게 잘 살았어요.'라고 말해줄 사람이 곁에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그것이 100세 넘게 장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아니 지금 당장 죽어도 여한이 없을 만큼 가치 있는 삶이 아니겠는가.

p.140

"조심해 가요. 계단 특히 조심하고요."

지팡이를 붙잡고 막 출발하려던 할매가 뒤돌아서서 나를 쳐다보며 말한다.

"웬일이랴."

'뭐가 또 웬일이야'라는 표정으로 할매를 쳐다보자 한 마디를 더 한다.

"안 하든 짓 하믄 디진댜."

'계단 올라오기 힘들다 그러지 말고 계단 없는 딴 병원으로 가세요.'라고 말하던 싸가지 없는 놈한테 뭔 볼일이 있다고 몇 년째 저 계단을 꾸역꾸역 올라오고 있는 할매가 조금 바보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어차피 다 거기서 거기인 고만고만한 동네 병원인데. 뭐 하러 힘들게 저런 고집을 부리나 싶기도 하다. 그리고...... 고마웠다.

아, 그 할매 참! 안 하든 짓 하게 만들고 말이야.

p.155~158

"근데 이 한여름에 감기는 왜 걸리는 겁니까?"

"뭐, 여름에도 사람들이 감기 좀 적당히 걸려주고 그래야 저도 먹고사니까요."

내 대답을 들은 그는 무릎을 탁 치면서 깔깔대며 웃다가 사래가 들리는 바람에 또 한참 기침을 한다.

그래, 먹고 살아야지. 먹여 살려야지.

그것 말고 뭐가 더 중요하겠는가.

p.173

"근데 원장님은 하고 싶던 일인가요, 지금 하시는 일이?"

"지금 하는 일이 원래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이었다고 스스로를 세뇌하면 끝!"

p.210~211

의사에게는 본인의 감정과 상관없이 환자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평가하고, 그 평가에 따라 적절하게 합리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냉정함이 필요하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무관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노동..... 어쩌면 의사의 감정적 노동은 거기까지일지도 모른다.

아무튼 폭발할 것 같은 순간이나 반대로 힘이 쭉 빠지는 고단한 감정을 애써 외면하며, 그 감정의 파도가 뇌세포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버텨 나가는 일은 결코 녹록지 않다. 입으로는 늘 괜찮다고, 사람은 그리 쉽게 안 죽는다고 이야기하지만 사실 나 역시 괜찮지 않을 때가 많다.

p.261

김시영, <괜찮아, 안죽어> 中

+) 이 책은 응급의학 전문의로 살던 의사가 동네 의원으로 살게 되면서 겪은 에피소드와 생각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저자는 응급실 의사로 10년을 지내면서 죽고 사는 문제가 걸린 심각한 환자들을 치료했던 사람이었다. 그러다가 어렸을 때부터 자신을 친손자처럼 아껴주던 가족 같았던 할아버지 의사의 유언으로 시골 동네 병원 의사가 된다.

처음에는 응급실과 다른 분위기의 병원에 심심하기도 하고, 할머니 할아버지의 궁시렁거림이 짜증나기도 해서 불친절하게 굴기도 했다. 나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대하지만 어르신들에게는 매정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모습이었다. 어쨌든 그도 차차 적응하게 되면서 어르신들과 두런두런 이야기도 주고 받게 된다.

이 책에는 짠하면서도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담겨 있다. 그렇기에 짧은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먹먹하기도 하다가 깔깔거리며 웃기도 하다가 코끝 찡해지는 순간도 있다. 저자의 냉정한 면모도 있지만 그 밑에 깔린 애정도 보이고, 점차 어르신들을 대하는 방법을 깨우쳐가는 사람의 모습도 나타난다.

어쩌면 어르신들이 그를 그렇게 만든 것은 아닐까. 그분들의 기준에서는 자신의 건강을 돌봐주는 의사면서, 동네 친절하고 똘똘한 젊은이 같을 것이고,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함께 나눌 사람 중의 하나일테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