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의 품격 - 삶이 곧 하나의 문장이다
이기주 지음 / 황소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대인춘풍 지기추상 :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부드러워야 한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 서리처럼 엄격해야 한다."
[채근담]
29%
제목에 너무 많은 정보를 욱여넣어서 독자가 본문을 상상할 기회를 아예 박탈하거나, 너무 두루뭉술한 제목을 내세워서 어떤 내용인지 전혀 짐작할 수 없게 만드는 것 또한 활제의 반대인 사제(死題)에 해당한다.
60%
어떤 활동에서 무엇을 느끼고 깨달았는가를 각 단락의 소주제로 삼고, 그것이 지원 동기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대주제로 세워서 촘촘히 문장을 엮으면 글에 입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라는 틀 위에 '나'를 쌓아 올릴 수 있다.
64%
글쓰기를 업으로 삼는 사람일수록 문장을 수정하는 데 공을 들인다. 단언컨대, 글을 잘 쓰는 사람 중 상당수는 대개 글을 잘 고치는 사람이다.
93%
"한때 잘나갈 때는 이 길과 저 길이 다른 것 같았어요. 그래서 좋은 길만 가려 했죠. 나중에 불행을 겪고 나서야 뒤늦게 깨달았어요. 실은 삶의 모든 길이 이어져 있다는 것을....."
96%
이기주, <글의 품격> 中
+) 이 책을 읽으며 저자가 어떤 기준으로 글을 쓰는지 명확해졌다. 저자는 말했다. 본인이 글을 쓴 뒤에는 반드시 어머님께 보여드린다고. 노부인인 어머님께서 이해할 수 있는 글이라면 어떤 독자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노인을 낮춰 보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 말의 바탕에 그가 현학적인 글보다 누구나 받아들이기 쉬운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글을 읽고 쓰는 것에 대한 단상이 담겨 있다. 기자였던 본인의 경험담을 비롯하여 글을 쓰거나 읽는 이의 체험과 생각을 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