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를 구한 12가지 약 이야기
정승규 지음 / 반니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구한 약을 꼽으라면 단연 페니실린이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우연한 발견을 세심하게 놓치지 않은 플레밍과, 불순물을 제거한 플로리와 체인세 과학자의 노력으로 탄생한 약은 수많은 인류의 생명을 살렸다.

15%

치과의사 웰스가 웃음가스를 주의 깊게 관찰해 수술의 고통을 없애는 마취제를 발견한 사실은 흥미롭다. 사물을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과 세상을 더 낫게 만들려는 열망이 중요하다.

47%

힘들 때 단 음식을 먹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스트레스가 쌓이면 장에 탈이 나기도 한다. 전혀 별개인 것 같은 장과 뇌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예다. 장은 사람의 감정도 조절한다.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의 90%가 장에서 분비된다. 행복은 뇌에서 느끼지만 뇌에서 분비하는 세로토닌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6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미네랄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인데, 이들을 잘 활용하려면 비타민이 필수다.

64%

정승규, <인류를 구한 12가지 약 이야기> 中

+) 이 책을 읽으면서 과학과 역사를 동시에 만나는 기분이 들었다. 어떤 주제 분류에 해당할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과학 기술사와 세계사 일반 영역 분야 동시에 해당한다. 고개가 끄덕여진다. 오랜만에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개인적으로 과학 영역이 난해하다고 믿는 성향이 있어서 늘 그 분야 독서가 힘들었는데, 이 책은 예상과 달리 상당히 재미있고 흥미로웠다.

무슨 과학 서적이 역사 책을 읽는 기분이 들지? 하고 생각했었는데. 과학 기술사라는 주제 아래 있다고 생각하니 이해가 된다. 그렇다고 따분한 역사 서적도 어려운 과학 서적도 아니다. 이 책은 비교적 쉽게 쓰여졌다. 해당 약품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배경과 연관된 과학과 역사의 일반적인 내용이 두루 담겨 있어서 상식이 풍부해진다.

과학이라는 분야가 상당히 논리적이고 이론적일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도 알았다. 우연히 발견한 것들에서 약을 만들어내기까지 끈기있게 노력한 의사와 과학자들의 노력이 필요했다. 우연을 그냥 지나치기보다 그것에서 시작하는 힘. 그게 인류를 구한 수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의 힘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