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온도 (3주년 150만부 기념 에디션, 양장)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그냥"이란 말은 대개 별다른 이유가 없다는 걸 의미하지만, 굳이 이유를 대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히 소중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14%

지금도 나쁘지 않지만 앞으로 더 좋아질 것 같은 예감이 드는 순간 우린 살아가는 동력을 얻는다. 어쩌면 계절도, 감정도, 인연이란 것도 죄다 그러할 것이다.

46%

언젠가 철학자 강신주 박사가 방송에 출연해 말했다. 그는 "한 끼를 해치워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먹는 음식은 식사가 아니라 사료에 가깝습니다."라며 식사와 사료의 개념 차이를 설명했다.

60%

극지에 사는 이누이트에스키모들은 분노를 현명하게 다스린다. 아니, 놓아준다. 그들은 화가 치밀어 오르면 하던 일을 멈추고 무작정 걷는다고 한다. 언제까지? 분노의 감정이 스르륵 가라앉을 때까지. 그리고 충분히 멀리 왔다 싶으면 그 자리에 긴 막대기 하나를 꽂아두고 온다. 미움, 원망, 서러움으로 얽히고설킨, 누군가에게 화상을 입힐지도 모느는 지나치게 뜨거운 감정을 그곳에 남겨두고 돌아오는 것이다.

73%

공백을 갖는다는 건 스스로 멈출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제 힘으로 멈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홀로 나아가는 것도 가능하리라.

그러니 가끔은 멈춰야 한다.

77%

이기주, <언어의 온도> 中

+) 사실 베스트셀러라길래 궁금해서 읽어 보았다. 대체 요즘 사람들은 어떤 에세이에 열광하는가 궁금해서.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살짝 놀랐다. 쉬운 용어로 정갈하게 쓰인 문장들은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문체였다. 이 책은 그가 써내려간 단상들을 모아 놓은 것 같았다. 아, 요즘 사람들은 이런 단상들을 좋아하는구나.

저자가 글을 쓰기 위해 쓴 듯한 의도된 글들도 보였고, 온전히 저자의 경험과 거기서 느낀 감정들을 적어 내려간 글들도 보였다. 사람을 편하게 해주는 문장들이 베스트셀러를 만들어준 것이 아닐까 싶다. 사람에 대한 애정이 따뜻한 시선으로 묘사되기에 소박하고 다정한 정서를 만날 수 있다. 그렇게 그것에 공감하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