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보이는 이발소 - 제155회 나오키상 수상작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김난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신경 쓸 거 없어. 타인을 자기를 비추는 거울로 생각하지 않으면 되는 일."

22% [성인식]

역시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지구가 자기 주위를 돌고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배려를 기대하는 쪽이 어리석다.

31%

"그 옷, 안 이쁘네."

그럼 그렇지. 나는 알고 있었다. 이 사람 사고회로의 작동원리를. 엄마가 누군가에게 비판의 화살을 돌리고 자신의 미의식을 고집하면서 타인에게 강요하는 것은, 자신의 콤플렉스를 감추고 싶어서이다. 자기를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33% [언젠가 왔던 길]

죄송합니다. 괜한 걸 물었군요. 어떤 결단을 내렸거나, 마음을 바꾸려고 할 때 이발소에 간다는 분이 의외로 많으셔서요. 오랜 세월 이 장사를 하다 보니 절감하게 되더군요. 인생의 전기에 머리를 깎는 건 여자의 전매특허가 아니라, 남자도 마찬가지라는 걸 말이죠.

41%

나이가 저보다 한참 어린데, 훈계를 듣는 쪽은 언제나 저였을 정도였으니까요. 그날 가게에 온 성깔 더러운 손님의 험담을 늘어놓으면, 그걸 참는 값도 이발료에 들어 있는 거다, 나도 당신이 처음 가게에 왔을 때 그런 생각으로 참았다, 그런 식으로 말입니다. 그 사람이 그런 말을 하면 화가 나지 않으니 참 신기한 노릇이었죠.

45%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

오기와라 히로시,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 中

+) 이 책은 여섯 편의 단편 소설이 실려 있는 소설집이다. 저자는 2016년에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로 [나오키상]을 수상했고, 그 작품을 비롯한 다른 단편 소설들을 엮어서 책으로 만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건, 적어도 이 책에 실린 단편소설들은 대부분 가족을 잃거나, 가족과의 연결고리를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큰 틀이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막연하게 느끼는 가족과의 연결고리의 의미를 저자는 침착하게 제시한다. 죽음으로든, 외면으로든, 타자의 삶을 통해서든. 작가는 가족과의 소통에 의미를 둔 게 아닌가 싶다. 그것이 남아있는 사람들이 깨달아야 할 점이기도 하고, 떠난 사람들이 한번쯤 가족을 생각할 이유이기도 하다.

스토리가 명확한만큼 어조는 차분하고 단정하다. 인물들의 절제된 감정의 묘사선이 일관되게 나타나기에 관록이 있는 작가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