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폭력 - 세상에서 가장 과소평가되는 폭력 이야기
베르너 바르텐스 지음, 손희주 옮김 / 걷는나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체 폭력보다도 더 심한 상처를 남기는 '정서적 폭력'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서

읽어봤는데요, 이렇게 다양하고 폭넓은 범위가 들어간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데이트 폭력같이 뉴스에서 쉽게 접했던 내용도 있었지만 아이를 가르치는 부모의

훈육 방법에서 치명적이고도 심각한 정서적 학대가 이뤄지는지는 몰랐어요.


ㅡ 나는 매일 보이지 않는 몽둥이에 얻어맞는다 ㅡ


누구에게나 상처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는 말에 성인만 떠올렸는데, 어린아이들은

무방비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이 많이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이 들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이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무작정 고집을 피우고 울거나 집안을 난장판으로 만들며 골치를 썩일 때

흔히 부모는 화가 났다는 표현을 '말하지 않는 것'으로 표현한다는 것이에요.



훈계를 핑계 삼아 아이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고 괴롭힌다.

때로는 매우 난폭해서 외부인의 입장에서 보면 충격을 받을 정도다. _108p



<엄마도 엄마는 처음이라서>에서는 자다 깬 아기를 재우려고 잔뜩 예민해지고

매일 밤잠 못 이루는 고통에 대한 내용이 나와요. 저도 주변에서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어요. 얼마나 힘들까 싶었습니다.

처음엔 아이의 울음을 그치게 하고 밤잠을 잘 재울 방법을 찾는다고 해요.



"그냥 울게 내버려 둬. 우리 때는 다 그렇게 키웠어." _104p



하지만 부모 세대의 누군가가 이런 말을 했을 경우를 예를 듭니다.

아이가 울기만 하면 부모가 와서 뭐든 것을 해주는 것을 알고서

일부러 그러는 것이니 속지 말라는 뉘앙스로요.


저자는 이 부분을 강력하게 주의를 주고 있어요. 아이는 단지 8시간을

내내 자기가 힘든 것으로 안정이 되기 전까지의 준비 기간이며,

몇 시간이 지나면 다시 배가 고픈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해

울 수밖에 없다고 말입니다. 많은 의사들이 우는 아이는 최대한 빨리

달래주는 것이 좋다고 추천한다고 합니다.


아이 다음으로 놀랐던 것은 <의료계> 의사가 상처를 줄 때였습니다.

모든 가치 판단 기준을 건강에 맞추도록 강요하는 '건강 주의'입니다.

학술적으로 증명된 바가 거의 없는 것도 사실같이 퍼져나간 조언들인데

오히려 듣지 않고 편안하게 먹는 것보다 더 해롭다고 하네요.


환자가 '내 몸은 문제가 많구나'라고 느끼게 되는 경우 자신과 자신의

인격적인 부분에까지 의문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정신적 자학.



ㅡ 결국은 내 잘못이라고 믿게 만드는 가스라이팅 ㅡ



일상에서 흔히 벌어지는 감정 폭력부터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를 지키는 9가지 방법'까지 총 12장인데요

직장과 군대, 스포츠계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