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의 사람들·계엄령 알베르 카뮈 전집 13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극은 사회주의 혁명기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다. 테러리스트 들이 알렉세이 대공을 암살하려는 과정을 그렸다. 보리스 아넨코프, 스테판 페도로프, 이반 칼리아예프, 도라 불보프, 알렉세이 부아노프, 대공비, 스쿠라토프 등이 등장한다. 작품을 읽으면서 눈에 띄었던 것은 칼리아예프와 스테판 사이에 존재하는 현실 인식에 대한 간극이다.

칼리아예프와 스테판의 갈등은 현대인이 전쟁과 혁명 속에서 직면할 수밖에 없는 역설에 놓여있다. 살인을 용인하는 것, 미래의 가능적 인간을 위하여 현재의 구체적 인간을 희생한다는 역설이 그것이다.

이는 알렉세이 대공과 아이들이 함께 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혁명의 대의를 위해서, 폭탄을 던져야 할 것인가 말것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구체화된다. 수천명의 죽어가는 사람들을 위해서 대공의 어린 조카 한 둘 쯤의 죽음은 용인될 수 있는가. 비인간적인 수단으로 달성한 혁명은 과연 정당한 것일까.

“수단의 불의를 용납한다는 것은 혁명의 정신적 실패를 그 원칙으로부터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단의 순수성을 요구한다는 것은 또한 그 역사적 성공을 그 원칙에서부터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피에르 앙리 시몽)

역사적 성공에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수단의 비순수성을 개인이 극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비순수의 온전한 극복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임을 인정할 때,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죽음뿐이다. 내가 죽음을 통해 이념의 눈높이에 도달할 때, 비로소, 타인의 죽음에 대항해서 나의 '순수성'을 논할 수 있는 근거가 확보되기 때문이다.(개인적으로는 이 근거 역시 아주 희미한 가능성의 형태로만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작품 속에서 칼리아예프는 “이념을 위하여 죽는 것은 이념과 같은 눈높이에 존재하는 유일한 방식이며 그것이 바로 행위에 대한 정당화의 방식”이라고 한다.

칼리아예프의 이 논리를 따라가면, 역사적 변화의 물결 속에서 개인에게 죽음이 곧 최선이다. 도라는 “유일한 해결 방법이 죽음이라면 우리가 택한 길은 옳지 못해. 옳은 길은 생명으로, 태양으로 인도하는 길이야.”라고 말한다. 이는 칼리아예프가 말한 '이념의 눈높이에 존재하는 죽음'에 대한 인간적인 되물음이다.

인간적 정의와 행복 사이의 갈등. 찢어진 의식의 심장부에서 스테판과 칼리아예프, 도라는 서로의 주변을 부지런히 맴돌고, 서로 부딪힌다.

한편, 칼리아예프와 도라 사이의 깊은 사랑을 아주 조금밖에 감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책의 해설 부분에 있었다. 작품 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임에도 불구하고 카뮈가 주제를 너무 소극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글은 밝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