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평전
송우혜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윤동주는 겨우 27년 2개월 정도의 삶을 이승에서 살아내고 죽었다. 비참한 죽음이었다. 식민지의 지식청년으로서 가졌던 꿈과 포부가 일제의 복강형무소에서 허무하게 사라졌다. 그러나 윤동주는 죽지 않았다. 청년 윤동주는 시인으로 한민족의 정신세계 속에 생생하게 살아있다. 우리는 일제에게 받았던 억압을 통해서 훼손된 영혼을 윤동주의 시와 정결한 삶을 통해서 정화시키는 경험을 하게 된다.

 

작가 송우혜는 이 책을 통해서 윤동주의 삶을 한편의 영화처럼 생생하게 보여준다. 역사가의 관점과 소설가의 시각이 잘 어울려 있다. 거기다가 송우혜는 윤동주와 삶과 죽음을 함께한 송몽규의 조카라는 개인적인 배경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 절절함이 글의 행간 속에 들어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윤동주 시의 비밀을 여는 열쇠들을 얻게 된다. 윤동주의 '동시'가 왜 특정 시기에 집중해서 씌어진 것이며, 그의 시 '자화상'이 어떤 배경하에서 나온 것인지도 알게 된다. 이 책은 윤동주의 시를 분석한 평론집으로도 손색이 없다.

 

윤동주는 짧은 생애지만 다른 시인과는 다른 경험들을 많이 했다. 그는 한반도가 아닌 북간도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지사들의 고장인 명동촌에서 기독교 교육을 받고 자란 그는 강한 민족주의 정서와 아울러 기독교적 순결함에 대한 의식을 골고루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연희전문학교를 나왔다. 거기서 맺은 인연들이 그에게 참 소중하게 작용한다. 대동아전쟁시기에는 일본에 유학갔다가 '조선독립운동'사건에 연루되어 옥사하게 된다. 30년도 안되는 짧은 삶, 아내는 커녕 공인된 애인도 없었던 그는 소년이나 청년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인식되어 있다. 그만큼 윤동주는 순수한 그림으로 남아있다. 윤동주는 이 책의 표지로도 나온 연희전문 졸업사진의 그 고요하고 순수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인식되고 있다.

 

윤동주와 소중한 인연을 맺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가슴아프게 남는다. 그의 친구 송몽규, 연희전문 동기인 강처중, 후배인 정병욱, 연희전문 스승이면서 윤동주 시의 최초 해설자가 된 대시인 정지용. 이 가운데 정병욱만 남한에서 살아남아서 윤동주 시의 후견인이 되었다. 다재다능했던 친구 송몽규는 윤동주와 같이 복강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윤동주가 죽은 얼마 뒤에 옥사한다. 강처중은 해방 이후 경항신문 기자로서 윤동주의 시가 세상에 알려지는데 큰 기여를 한다. 그러나 남조선노동당 간부였던 그는 한국전쟁중에 체포되었다가 북으로 넘어가게 된다. 시인 정지용 또한 전쟁중에 납북된다. 평화로운 시기였다면 다들 문단에서 교유하면 한국어의 활동공간을 넓혔을 그들이다. 마치 비극적인 소설이나 영화같은 것이 그들의 삶이다. 생각하면 아까운 이들이다.

 

만주사변이 일어나는 1930년 이후 군국주의 일본이 전쟁의 광기에 미쳐 돌아갈 때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이들은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이었다. 그 영향은 우선 교육에서 노골적인 황민화 교육, 조선 전통의 말살로 나타났다. 그 시절에는 한국어로 자기 생각을 표현한다는 것이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 이 때 윤동주는 조선어와 시, 문학이라는 영역을 자기 삶의 중추로 고집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지켜나간다. 개인적으로는 안간힘에 가까운 노력이 들어갔다.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의 시기에 한국어로 시를 쓰려고 노력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나. 윤동주라는 개인은 자신의 정체와 미래에 대한 고뇌를 한국어로 된 시로 나타냈다. 이것이 나중에 해방된 우리 민족에게 얼마만한 영혼의 정화를 경험하게 했는지. 생각해보면 윤동주는 타락한 민족을 위한 희생양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비록 독립투쟁의 대열에 총을 들고 뛰어들지는 않았어도 문화의 영역에서 주체를 지키려고 한 시인의 고투는 어떤 시대에 올바로 산다는 것이 어떠해야 하는지 묻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