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 - 126 목판에 새긴 우리 땅 이야기 책 읽는 고래 : 고전 1
이차원 지음, 강경선 그림 / 웅진주니어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유홍준 교수는 김홍도를 단군이래 최고의 화가라고 어느 강연에서 말했다. 나는 김정호를 묘사하는 데도 그 말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김정호는 단군이래 최고의 지리학자다. 김정호가 만들어낸 대동여지도와 동여도는 기계의 도움없이 그린 가장 정밀한 지도였다. 오늘날 우리가 인공위성에서 찍은 사진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낸 지도와 견주어보아도 그 정확도는 떨어지지 않을 정도라고 한다.

김정호는 황해도 출신으로 양반은 아니었다고 한다. 혜강 최한기는 김정호를 그의 글에서 "나의 친구 김정호"라고 호칭했지만 김정호는 아마 서울의 공공기관에 근무하던 인쇄업자 비슷한 사람이 아니었을까 하고 추정하고 있다. 김정호를 후원한 사람들이 주로 무관 출신인점에 비추어보아서 김정호도 아마 군사계통에서 지도를 제작하는 데 관여하지 않았나 하고 추측하고 있다. 말 그대로 추측이다. 김정호 개인에 관한 당대의 기록을 한 손에 꼽을 정도 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김정호는 오로지 그가 남긴 지도와 지리지를 통해서만 우리에게 말하고 있을 뿐이다.

김정호는 30세에 최초로 <청구도>라는 지도를 펴냈다. 이것이 당대의 베스트셀러였던 모양이다. 이후에 김정호는 청구도를 더 발전시킨 지도들을 선보였다. 가장 세밀한 한반도 지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동여도>다. 이것은 붓으로 그린 것인데, <대동여지도>보다 더 상세하다. <대동여지도>는 <동여도>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지도를 판각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목판에 새기다보니 <동여도>만큼 상세하게 나타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대동여지도>는 조선시대 지리학의 성과를 최대치로 나타낸 작품이다. <대동여지도>는 전체를 펼치면 가로4미터, 세로 7미터난 되는 거대한 크기의 지도다. 목판에 이것을 판각했는데, 한판의 크기가 20*30센티미터다. 가로는 19칸, 세로는 22단이 된다. 모두 더하면 126개의 목판이 된다고 한다. 인쇄한 지도는 '분첩절첩식'이라고 하는데, '첩으로 나누고, 절로 합치다'라는 뜻이다. 커다란 지도를 한권의 책으로 접어서 들고 다닐 수가 있었던 것이다. 마치 요즘 전국지도를 책으로 만들어서 파는 것같이 했던 것이다.

우리에게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로 기억되는데, 사실 그간 우리가 대동여지도에 대해서 아는 사실은 보잘 것 없었다. 그것이 정확하게 밝혀지고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이우형이라는 지리학자의 몇십년에 걸친 노력이 있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이우형을 현대의 김정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우형은 신경준의 <산경표>를 재발견했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현장답사를 통해서 그 과학성을 입증했던 사람이다. 백두대간이라는 전통적인 우리의 산천개념을 발견해서 대중적으로 알린 것도 이우형의 공로다. 이분은 2001년에 돌아가셨다. angangi.com 이라는 사이트에 가면 이우형과 백두대간, 대동여지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판각을 하는데 드는 비용을 대 준 사람들은 당대의 무신들이었다고 한다. 대원군 시절의 대표적인 무관이면서 나중에 병조판서까지 지낸 신헌장군, 궁중수호무관이며 부호였던 최성환 같은 이들이 김정호의 지도편찬작업을 후원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김정호의 지도는 군사적으로 쓰일 수 있는 요소들이 많다. 각종 산성과 주둔지, 봉수, 역참 따위가 명시되어 있고, 거리와 방위도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에서 만든 가장 정밀한 군사지도라는 평을 들을만했던 것이다. 그런데 통탄할 만한 사실은 <대동여지도>가 나중에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 때 청군이나 러시안군, 일본군의 작전지도로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일본국회도서관에는 지금도 당시 일본 육군에서 군사용 지도로 사용했던 <대동여지도>가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대동여지도>는 우리나라 전통지리학의 성과가 집약된 문화유산이다. 그런데도 그것을 우리를 침략하는 외세가 더욱 잘 이용했다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김정호가 평생을 걸고 만든 지도가 결국 그렇게 이용될 것을 김정호는 상상이라도 했겠는가. 앞으로도 이런 종류의 일이 없으리라고 누가 장담하겠나. 새삼 우리 민족이 강대국의 틈바구니에 끼어있음을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