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만드는 법 - 더 많은 독자를 상상하는 편집자의 모험 땅콩문고
이연실 지음 / 유유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출판으로 에세이를 만든다는 건, 글을 쓰는 사람이 편집자이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의 역할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현재 나는 편집자의 역할로서 1년 전의 내가 쓴 글을 요리조리 편집하는 중인데, 주변 지인에게 소정의 마음과 함께 피드백을 부탁하여 타인의 시선으로 본 글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당연하게도 꽤나 충격적인 피드백을 받았고 에세이를 어떻게 잘 만들어야 할지 깊은 고민에 빠졌다.

리디 셀렉트의 에세이 카테고리를 35페이지까지 넘겨보며 좋은 책이 있을까 고민에 빠진 내게 '에세이 만드는 법'이라는 책을 발견한 건 천운이나 다름 없었다. 이 제목을 검색해볼 생각을 왜 안했을까? 지금이라도 마주하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책 소개를 읽어보니 여러 베스트셀러에 오른 작품을 편집한 편집자의 이야기라는 걸 알게 되었고, 주저 없이 이북리더기에 다운로드했다.


에세이는 억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한 사람이 살아온 대로, 경험한 만큼 쓰이는 글이 에세이다.

들어가는 글에서부터 저자는 에세이를 한 사람의 경험을 담은 글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서 에세이의 타깃 독자는 한정되어 있지 않다는 말을 전한다. 이 책에서는 대중을 상대로 어떻게 에세이를 잘 만들어서 읽게끔 할 것인지 고민하고, 그것이 잘 드러난다.

이후로 제목, 띠지, 표지 등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이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책을 읽어보시길. 길지 않은 분량이니 하루 몇 시간이면 다 읽는다.) 원고를 어떻게 고치는지 설명한다. 내게 제일 필요한 이야기였기에 하마터면 모든 문장에 밑줄을 그을 뻔했다. 나와 친구들이 함께 작업하고 있는 원고에는 글이 매끄럽고 재미있게 읽히도록 표현을 보태는 '윤문'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이야기지만, 과거에 모 연예인·인플루언서의 에세이를 읽을 때 '아, 이 부분은 편집자의 터치가 들어갔겠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편집자의 윤문이 조금 티가 났던 것이 아닐까.

책의 내용은 마케터와의 관계, 보도자료, 편집자로서의 태도, 작가들과의 일화 등이 이어진다. '에세이 만드는 법'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씨앗부터 열매를 맺는 과정을 소상히 보여준다. 책의 독자인 나는 '독립출판'을 목적으로 책을 읽었기에 대형 출판사처럼 띠지를 두르고 몇만, 몇천 부를 찍는 상황에 100퍼센트 몰입할 수 없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례를 재밌게 풀어내서인지 내용 자체가 술술 읽혔다. 그리고 일을 향한 애정이 느껴져서 글을 읽는 내게도 그의 진지한 고민이 따라붙는 듯했다.

아무리 내가 쓴 글이어도 '편집자 모드'로 전환하는 건 쉽지 않는데, 이 책을 1회독하니 조금은 편집자처럼 내 글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좋은 책을 만들고 싶어졌다. 이 책의 저자가 편집한 책을 몇 권 읽어보고, 국내외의 좋은 에세이를 많이 탐독하며 '에세이 공부'를 하겠노라 다짐했다.

평소 에세이에 회의적인 사람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니, 한번쯤은 읽어봐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독립출판 우리, 독립출판 1
북노마드 편집부 엮음 / 북노마드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당연히 독립출판의 과정이나 방법을 말하는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책을 펼쳐보니 '자기 자신만의 책을 완성한 독립출판 작가들을 소개하는' 내용이었다!


  작가님들에게 하는 질문의 구성은 한두 개를 제외하고 거의 같았다. 그 덕분에 한 주제에 다양한 대답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그 중 내게 도움이 되었던 질문을 꼽아보았다.


1. 자신의 책을 쓰고 만든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언제, 어떤 것과 마주했을 때 '굳이' 글로 남겨야겠다고 생각하나요?

2. 독립책방과 독립출판물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들은 왜 독립책방을 찾아서 독립출판물을 사고 읽는 걸까요? 그곳에서, 그 책을 통해 어떤 가치를 찾고 있는 걸까요?

3. 첫 책은 몇 부를 찍었나요? 총 제작비는 어느 정도 소요되었나요? 제작비는 어떻게 마련했는지 궁금합니다.

4. 독립출판은 작가가 직접 제작-입고-유통을 주도적으로 할 수밖에 없을 텐데요. 편집-디자인-인쇄 등은 어떻게 해결했나요? 독립책방 유통도 직접 챙겨서 하고 있나요?


  각기 다른 이유로 독립출판을 시작한 이야기를 보며, 내가 독립출판을 고민하게 된 이유가 너무 세속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들 어쩜 이렇게 삶을 직시하고 인간을 바라보는지 대단하고 멋지다고 느꼈다.


  작가님들이 생각하는 독립출판을 찾는 이유를 보며 내가 도전하고자는 독립출판의 대상을 고민해보았다. 기성출판, 서점에서 말하지 않는 진솔하고 발칙한 이야기를 기대하고, 서점이 정해준 목록이 아닌, 내 입맛대로 책을 고를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자 하고, 스스로 결정하고 사는 삶을 동경하기 때문이라는 말에 공감했다. 물론 어떤 작가님은 '독립출판물을 사서 읽는 이유나 가치는 보통의 책과 다르지 않다'고 했지만.


  초판은 20부부터 300부까지 다양한 부수로 찍었다는 걸 알았다. 검색해서 찾아보았을 땐 대부분 100부 정도라고 어렴풋이 알게 되었는데 역시 모아보니 각자 스타일에 맞추면 되겠다.


  어떤 작가님은 정말 삶의 깊이가 남 다르게 깊다는 인상을 주었지만, 어떤 작가님은... 예술에 심취한 듯 보였다... 각자의 개성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이 책의 재미가 오지만 '엥?'스러운 부분도 분명 있었다... 독자를 생각하지 않고 뱉는 말들에서 이 작가의 책은 읽어보고 싶지 않군!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독자가 떨어져나가는 인터뷰는 왜 했을까? 독립출판의 '발칙함'이 이런 거라고 생각하는 분인가 싶었다. 전혀 아닐 듯하지만.


  독립출판에 이제 막 입문을 준비하는 예비 과정 중(ㅋㅋㅋㅋ)이라 모르는 것 투성이인데, <언리미티드 에디션>이라는 아트북 페어도 알게 되었다. 인스타그램도 팔로우해두었다.


  인터뷰 모음집인 만큼 정보를 얻기 좋은 책은 아니지만, 각자의 이야기를 가까이서 들여다볼 수 있어서 좋았다. 정말 마음에 와 닿았던 이야기들은 조금 발췌해두었다.

순간순간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아가는 일상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것, 그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일을 잘 해낼 때 꿈을 이루었다고 하는 것 같아요. 우리에게 삶이란 오늘 하루예요. 그 하루를 자기가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다면 그것보다 아름다운 삶은 없을 거예요. - 김경희 《컨셉진》 편집장의 말 - P92

자신의 이야기를 하나의 책으로 담아내는 일은 어떤 매체도 대신할 수 없는 손에 잡히는 완결성이라는 매력이 있다는 걸 알았어요. - 라야의 말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