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랑골동품점
범유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어떤 책을 읽든, 나는 목차나 차례부터 유심히 보는 편이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가 등장할지 엿볼 수 있으면서도 그 시점에 다다를 때까지 큰 기대감을 주기 때문이다. 그 점에서 『호랑골동품점』은 차례부터 심상치 않았다.
서막. 호랑골동품점 영업 시작 전 [닫힘]
1. 19세기, 영국 브라이언트앤드메이 성냥
2. 19세기, 그림자인형 와양쿨릿
3. 1977년, 체신1호 벽괘형 공중전화기
4. 1950년대, 럭키 래빗스 풋
5. 17세기, 짚인형 제웅
6. 연도 불명, 콩주머니
후일담. 호랑골동품점 영업 시작 [열림]
익숙한 성냥이나 공중전화기부터 낯선 와양쿨릿이 제작연도와 함께 나열되어 있는 차례를 보며 골동품점이라는 제목에 걸맞는 근사한 이야기를 기대했다. 그 기대는 예상을 벗어나지 않고 흥미진진한 기담들을 만나게 되었다.
백호와 귀신이 등장하며 신비로운 분위기로 출발한 소설은 동묘나 을지로 어딘가 있을 법한 골동품 거리로 자리를 옮기며 여러 사람과 마주한다. 총 여섯 가지 골동품이 등장하며 각 물건에 이끌린 사람들이 이야기 한가운데로 자리한다. 콜센터 근무를 하며 부조리함에 맞서 싸우지 못한 김규리, 인성과 성품이 나쁜 김택구, 소중한 두 친구를 잃은 정지운, 폭력의 기억에서 벗어나고 싶은 심길용, 괜찮은 척 삶을 살아가는 채주연, 아빠에 의해 엄마를 잃은 소하연, 그리고 이들과 연관된 여러 사람들까지 가지각색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마냥 악인도 아니며 마냥 선인도 아닌 이들은 호랑골동품점의 골동품과 만나 신이한 일을 겪는다. 기담 형식으로 각기 다른 사건이 전개되며, 그 과정에서 호랑골동품점의 주인 이유요와 주변인물이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이들은 환상과 현실을 넘나드는데, 으스스한 호러의 문법을 취하고 있지만 마냥 다크하지만은 않다. 쉽게 비유를 하자면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의 힐링 버전이랄까?
특히 인상 깊었던 장은 「17세기, 짚인형 제웅」이었다. 42세 직장인 여성 채주연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했던 '외로움'을 가장 잘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작가는 소설 전반에 걸쳐 '외로움'에 대해 다루는데, 이는 호랑골동품점 주인 이유요도 포함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이야기한다. 채주연은 남편에게 배신당하고 딸은 미국에 유학 가있는, 그야말로 '완전한 혼자'였다. 그 외로움은 불교의 아귀처럼 배고픔으로 치환되어 끊임 없이 먹으면서 괴로움을 달래려한다.

우연히 들어가게 된 호랑골동품점에서 돈을 주고 훔친(?) 짚인형과 교류 아닌 교류를 하며 그 증상은 나아지는 듯했으나, 소중한 딸에게 영향이 가자 외로움을 택한다. 그저 외로웠을 뿐인 채주연은 이유요에게 같은 처지였던 짚인형 제웅 원의 이야기를 듣고 그를 이해하게 된다. 채주연과 원은 함께 집으로 돌아가며 장은 끝난다. 앞으로는 서로 정을 나누며 허기 같은 외로움을 달랠 수 있을까? 궁금증이 남는 마무리였다.
이 외에도 마음이 안타까웠던 정지운의 공중전화기나 이유요에게 초코우유로 스며든 소하연의 이야기까지 정말 다채롭고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많았다. 특히 이유요의 외로움까지 해소가 될 기미가 보이자 마음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기분이었다. 책 소개글의 '힐링 호러 소설'이라는 장르가 딱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오싹하지만 사람 사는 냄새가 난다. 약 2시간 만에 주파할 정도로 술술 읽히는 것 역시 이 소설의 매력 중 하나였다. 영상화가 되어도 재미있지 않을까.
🪆하니포터 10기로서 한겨레출판에서 책을 제공받아 솔직한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