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의 미래 - AI라는 유혹적 글쓰기 도구의 등장, 그 이후
나오미 배런 지음, 배동근 옮김, 엄기호 해제 / 북트리거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예스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책을 읽으며 얼마 전 친구들과 나눈 대화가 생각났다. 갤럭시 워치 7의 Galaxy AI가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응답을 추천해주면, 내가 골라서 답을 보내는 기능이다.



  AI의 메세지를 본 친구들은 나의 프로필로 말하지만 '누구냐'며 '진짜 함함'을 찾고 있다. 이처럼 사람의 편집을 거치지 않은 AI의 글은 마음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나 효율적이고 간편하고 시간을 아껴준다.

  하지만 놀랍게도 나는 지금껏 챗GTP 등을 경계했는데, 나는 왜 AI를 거절했는가 돌이켜 보았다. 첫 번째로 책에서 언급했듯이 환경문제가 가장 컸다. A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슈퍼 컴퓨터가 필요한데 그를 식히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진실성 문제가 있다. AI는 출처 없는 정보를 마치 진실인 것 마냥 허위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를 모두 대처할 수가 없기 때문에 AI는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저자는 인간의 쓰기부터 시작해 AI의 발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는 우리가 왜 이 AI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지, 인간에게 있던 글쓰기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잘 보여준다.
이러한 내용 전개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던 쓰기의 중요성과 AI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고민했던 지점을 모두 보여준다.

  현재 나는 머리카락을 말리면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해 이 서평을 작동하고 있다. 이런 것처럼 AI는 맞춤법 검사, 음성 인식, 단어자동완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정부 기관 등에서 사용이 금지된 딥시크처럼 아직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를 확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큰 우려가 있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이 AI를 어떻게 윤리적으로 그리고 인간의 쓰기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할지 논의하고 있다.

  인간의 쓰기는 나의 마음을 파악하는 것부터 타인에게 나의 의견을 전달하는 것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쓰기는 많은 훈련과 연습으로 이뤄내는 것이며 이것이 AI에게 모든 쓰기를 외주 맡기는 것에 대해 경계할 수밖엔 없는 이유다.
  책에서 간단한 기사 작성이나 단순한 번역 등 쉽게 지루함을 느끼거나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쓰기를 AI에게 맡겼을 때 효능에 대해 이야기했다. 동시에 인간의 뇌는 그것보다 더 깊은 사고 분석에 쓰는 방향을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나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이것은 마치 기어 다니지도 못하는 사람에게 장애물 달리기를 하라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인간은 최소한의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선 아주 기본적이고 소소한 쓰기부터 해야 되는 것이다. 그 밑바탕이 갖추어지지 않은 채 고도화 된 글을 쓸려는 거는 욕심이다

  이 책은 인간의 쓰기와 AI를 어떻게 잘 미래로 가져갈 것인지 고민하고있다. 이는 ChatGPT와 딥시크 등 여러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야 하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며 사소한 업무부터 중요한 기회감 메일 등을 쓰는 모든 이들에게 해당되는 말이다. 책의 내용이 조금 어렵고 전문적인 이야기가 많지만 저자는 친절하게 용어 풀이에 지면을 할애해 놓았으니 나처럼 일반적인 수준의 사람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앞으로 AI에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진 알 수 없지만, 인간을 보조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을 해하지 않는 선에서 AI를 연구하려는 움직임도 분명 존재한다. 나아가는 미래에 뒤쳐지지 않고 과학기술과 공생하는 날을 상상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