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 스페이스
칼리 월리스 지음, 유혜인 옮김 / 황금가지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금가지에서 책을 제공받아 솔직한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최근 한국인 최초로 정보라 작가의 '너의 유토피아'가 필립 K.딕 상 후보에 오르는 좋은 소식이 있었다. 뛰어난 SF 장편을 선정해 매년 수여하는 이 상은 세계 3대 SF 문학상인데, 이번에 읽은 칼리 월리스의 '데드 스페이스'는 필립 K.딕 상 수상작이다. 엄청난 상을 받은 만큼 소설의 내용이 굉장히 기대되었다.


  평소 나는 책을 읽을 때 재즈나 팝을 주로 듣는 편인데, 이번에는 우주 과학 소설이라는 컨셉에 맞게 스포티파이에서 SF 영화의 OST를 모아둔 플레이리스트를 찾아 들었다. 개인적으로 적절한 배경음악과 함께하니 헤스터의 여정에 더 몰입되어 좋았다. 추천!


  SF 소설은 세계관을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그래야 우리와 동떨어져있는 이야기에 몰입하고 빠져들기 때문이다. '데드 스페이스'는 축축하고 음울한 헤스터의 사이보그 팔다리에 얽힌 과거를 적절히 풀며 시작한다.


  마리사 마이어의 소설 '신더'의 주인공 신더가 생각나는 장면들이 많았다. 사람으로서가 아닌, 반짝이는 금속만 보는 사람들이 등장할 때마다 헤스터의 내면이 요동치는 게 느껴졌다. 닳고 닳아버린 헤스터의 트라우마와 아픔이 독자에게도 전달되며, 강하지만 나약한 마음을 동시에 가진 한 사람처럼 다가왔다. 신체와 금속이 맞닿은 곳에서 생기는 고통과 낯섦을 생생히 묘사한 덕분에, 책을 읽으며 나도 몸 한구석이 저릿한 기분이었다.


  저자는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우주 기지를 영화처럼 그려냈다. 그저 줄줄 늘이는 게 아니라 구체적이고 세밀한 설명으로 헤스터의 눈으로 본 '히기에이아'와 '니무에'로 다가와 읽는 데에 어색함이 덜했다. 거기다가 계층별(화성인, 위에량 상류층 등) 말투, 소행성별 각기 다른 중력, 잘 수거된 떡밥(!) 등 사소한 디테일이 이 소설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런 요소는 SF 단편 소설보단 장편 소설에서 필요한데, 참 오랜만에 장편 소설을 읽은 내게 좋으면서도 조금 힘들었다. 상세한 묘사와 낯선 이름으로 자꾸 소설 앞으로 돌아와 어떤 사람이었는지 표시하며 읽었다. 그런 면에서 단숨에 읽지 않고 조금씩 나눠 독서하는 사람에겐 읽기 힘들 수도 있다.



  헤스터가 사이보그가 된 원인이 '심포지엄 참사'라는 점에서 마음이 아팠다. 우리나라도 최근 여러 참사를 겪으며 희생자를 추모하고 기억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지구와 화성, 외행성 등지까지 인류가 살고 있고 여러 차례 전쟁을 겪은 냉혹한 '데드 스페이스'의 세계에서는 추모는 커녕 가해자에게 합당한 처벌도 이뤄지지 않았다. 반면 피해자인 헤스터와 데이비드는 치료비 등으로 파르테노페의 말단 직원으로 일하며 평생에 걸쳐 갚아야 한다.


  이 소설에서는 마냥 낭만적인 사이보그 보안관이 아니라 한 사람의 인생사에서 이러한 불가항력의 사고가 끼치는 영향을 계속 보여준다. 그럴 때마다 헤스터의 모험에 마음이 붕 뜨다가도, 중력에 끌려 현실로 돌아오는 기분이었다. 자본과 무력만이 사회의 주요 가치가 된 세계에서 사람의 목숨이란 얼마나 무가치하게 쓰이는지, 그렇게 희생된 사람의 인생은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는데 왜 그 생각을 하지 않는지. 그런 면에서 주된 스토리 전개는 스릴러·미스터리지만, 본질적으로 '데드 스페이스'는 디스토피아 세상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데드 스페이스'에서 제일 재미있던 건 끝없는 반전이었다. 헤스터가 모르는 건 독자도 모르고, 헤스터가 오해한 건 우리도 오해한다. 그 과정에서 '뭐야?! 헤스터 너 틀렸었네!!?'라고 생각하며 혼란스럽지만 새롭게 밝혀지는 진실에 놀라기 바쁘다. 소설의 중반을 넘어서면부터 읽는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며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매력이 있다. (그리고 메리 핑이 정말 강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