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법소녀는 왜 세상을 구하지 못했을까? - 소녀가 소비하는 문화, 그 알려지지 않은 이면 이해하기
백설희.홍수민 지음 / 들녘 / 2022년 4월
평점 :
마법소녀는 세상을 구하기 위한 계시로부터 시작됩니다.
세상을 구하지 못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작품 속에서 목표를 진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다는 비유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디즈니 애니메이션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엘사와 모아나는 모두 후계자로 선택받았고,
그로 인해 자신을 숨기고 안주할 것을 강요받다가
종래에 진정한 자신을 찾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겨울 왕국>은 정말 이때까지의
전통적인 미디어가 보여주던 성 역할을
비트는 이야기로 인기를 얻습니다.
보통 남자 캐릭터와 사랑에 빠지고
여자 캐릭터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합니다.
그런데 이와 다르게 남성 캐릭터는 시련을 주고,
여성 캐릭터가 이를 극복하며 끝납니다.
저는 이 때 중학생이었는데
일단 완전히 로맨스가 없다는 점에 충격이었습니다.
그 때만 해도 드라마,영화,애니메이션:로맨스 기승전로맨스 도식이었는데
사랑으로 끝나지 않는 작품이 있다는 것에 놀랐고
영화를 진짜 열심히 봤던 기억이 납니다.
그 후로 나오는 디즈니 작품에 대해 언급이 있었습니다.
제가 봤던 작품인 <모아나> 또한
주인공 모아나를 여행길에 오르도록 돕는 인물은
할머니인 탈라였습니다.
모아나는 섬의 위기를 극복하는 능동적인 인물로 그려집니다.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은 아직 못 봤는데
설명만으로도 너무 재밌을 것 같습니다.
악우와 라이벌 관계
=혐관 맛집이네요

미디어가 '마른 몸'을 아이돌,
그중에서도 여성 아이돌의 '본분'으로 만들며 장작을 놓는다면
몇몇 팬들은 '개말라'를 연호하며
마른 몸을 공개적으로 선망함으로써
그 위에 기름을 붓습니다.
아이돌도 좋아해 본 입장에서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입니다.
특히 여성 아이돌은 정말 나노 단위로
평가받는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낍니다.
밥도 못 먹고 굶어야 하고, 그 상태에서
힘든 안무와 노래 연습까지 소화하는
아이돌의 건강이 너무 걱정됩니다.
얼마 전 김연아 선수의 광고에서 근육을 지웠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자연스러운 몸이 아니라 무조건 여성은
근육 없는 몸으로 보정이 되는 사실이 너무 속상했습니다.
지금은 피드백을 받아 광고에서 수정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아이돌은 다이어트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로 인해 일반인까지
모두 살이 없는 상태를 위해 노력합니다.
과거 저 또한 다이어트를 시도했던 적이 있어 공감되었습니다.
진짜 한 끼만 굶어도 책상이랑 책 다 씹어먹을 뻔했습니다.
'나비약'으로 대표되는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를
오남용한다는 내용을 읽으니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어린 아이들용으로 나온 화장품을 보고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꼰대같을 수도 있겠지만 제가 어렸을 때는(라떼는) 그러한 것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분명 저의 어린 시절에도 화장하는 아이들은 있었고,
결국 문화는 대물림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안전한 소녀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른들의 문화부터 바뀌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과거와는 다르게 아이들이 보는 애니메이션은
나아지고 있다고 느낍니다.
여성이 주인공인 작품은 물론,
연애와 결혼으로 이어지지 않는 결말의 창작물 또한 많아지고 있습니다.
편견 없는 이야기들을 앞으로도 많이 접하고 만들고 싶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후기를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