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마이 달링, 독거미 여인의 키스
김재희 외 지음 / 도서출판바람꽃 / 2018년 7월
평점 :
국내 추리 소설은 접하기 힘든데 이렇게 여러 작가의 작품을 접할 수 있어 반가웠다. '추리마을'이라는 같은 소재를 가지고 글이 진행되지만 아무래도 여러 작가다 보니 같은 장르라도 모두 색깔이 다르고 문체도 달라 한 편 한 편 지루하지 않고 새로웠다. 가끔 앞작품에서 서술되었던 지명이나 사람에 대해 언급되면 반갑기도 했다. 여러 추리 소설 중, 제일 마음에 들었던 작품은 '베아트리체의 정원' 이다. 처음 시작부터 사건을 던져주기에 궁금증부터 일었고 주인공들이 나처럼 추리와 보드 게임의 모임을 하고 있다는 것에서 동질감을 느끼기도 했고 인도 전설이나 투구꽃, 돼지고기 얘기 등 여러 흥미로운 단서들이 자연스럽게 열거되어 진행을 어색하게하지 않고 빠져들었다. 또 사건이 진행되며 용의자가 생겼지만 차근차근 원인과 결과를 짚어보고 허점은 없는지, 다른 용의자를 찾는 점도 함께 추리를 할 수 있어 좋았다. 주인공들이 서로 다른 용의자를 내세우는 점도 흥미로웠다. 여러 인물이 나오지만 차근차근 짚어감으로써 깔끔하게 스토리 진행을 한 것 같다.
각자 작품에 대한 느낀점을 몇 가지 써보자면 먼저, '야생화를 기르는 그녀의 비밀 꽃말' 이다. 사실 주인공이 용의자를 의심하고 취조하는 부분이 설득력이 있지 않아 오히려 용의자의 편에서 작품을 보게 되었다. 특히 '사랑하는 사람이 보내는 지지는 자살 결심을 돌려먹게한다' 는 말은 옆에 있으면서도 그를 말리지 못한 용의자 탓을 하는 것 같아 원망스럽기까지 했다. 결말에서 그녀가 진실을 숨긴 이유가 죄책감과 종교의 이유였다면, 차라리 자신이 범인이라고 주장하고 사건과 진술에 이상함을 느낀 주인공이 진실을 파헤친다는 스토리는 어떨까 망상도 해보았다. 결말이 감성적이어서 아련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탐정축제에서 생긴 일', 확실한 증거없이 범인을 특정 짓는 느낌은 받긴 했지만 과거 회상이나 얘기 흐름이 자연스러워서 빠져들었다. '시체 옆에 피는 꽃'도 새로웠다. 사회자가 연극의 진행을 따라 독자들에게 말해주는 방식이 매우 독특했다. 그래서인지 눈 앞에 연극이 펼쳐지듯 스토리 진행에 빠져 들었다. 그러면서 스토리도 꽤 입체적이어서 즐겁게 보았다.
모처럼 여러가지 추리 소설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즐거웠다. 이렇게 단편 추리 소설도 좋지만 작가들의 장편도 보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앞으로도 한국 추리 소설이 많이 나오고 또 독자들도 많이 즐기길, 한국 추리 소설의 길이 열리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