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그리고 봄
<꽃피는 봄이 오면>을 보고

  남편이 섹소폰을 배우게 되었다. 나는 다소 엉뚱하다고 생각했다. 내가 보기에 평소 남편은 음악에 소질이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았고 음악을 즐기는 편도 아닌 것 같았기 때문이다. 또 악기의 값이 다른 사람이 산다고 따라 살만한 부담없는 가격도 아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말로 빈정거려 보았지만 결국 배우고 싶은 열정을 뺏지는 못했다. 거의 매일 교회 지하기도실에서 연습하는 열정을 보이면서 섹소폰에 대한 나의 냉소적 태도도 바뀌기 시작했다. 그럴 즈음 <꽃피는 봄이 오면>이란 영화에 섹소폰이 나온다고 하기에 남편과 함께 보러 가기로 했다. 영화를 보면서 섹소폰 보다 트럼펫이 더 멋있어 보였다.
  주인공 현우는 늘 진지하고 고뇌에 찬 모습을 하고 다닌다. 참된 음악을 하기 위해 현실적인 것과 타협하지 않으려고 하는, 적어도 돈을 벌기 위해 음악을 도구로 사용하지 않으려는 그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사랑하는 사람, 연희와의 이별을 잊으려고 산골마을의 관악부 지도교사로 지내면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돕기 위해 자신이 그렇게도 멸시하던 밤무대에서 섹소폰을 연주하기도 한다. 혈육이라고는 할머니 밖에 없는 학생이 할머니를 잃는 슬픔을 보면서, 현우는 묵묵히 자신을 뒷바라지 해 온 어머니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그는 가난하고 별 재능도 없어 보이는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새삼스럽게 살아가는 기쁨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는 것 같아 보였다. 관악부 단장이자 섹소폰을 연주하는 학생이 자신의 여자 친구와 헤어지겠다고 하자 사랑은 그렇게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말을 하던 현우를 보면서 가르치는 것은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준다고 생각했다. 현우와 헤어진 연희는 음악을 같이 하던 친구와 함께 현우가 있는 탄광마을로 찾아 가지만 현우를 만나지는 않고 바닷가에서 옛 추억을 떠올리며 걷는다. 그 때 돌아가신 할머니를 위해 바닷가에서 트럼펫을 연주하던 아이를 만난다. 그 아이가 연주하는 곡은 사랑했던 사람 현우가 작곡한 곡이었다. 그 연주를 들으면서 연희는 지난 사랑의 추억을 떠올리고 그 사랑이 끝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것 같았다. 오합지졸이던 아이들을 데리고 관악연주대회에서 연주를 할 때, 나 또한 가슴이 뿌듯해졌다. 그러면서 현우의 상처는 점점 회복되고 있었다. 자신을 떠날 것 같았던 연희가 아직 자신의 주변에 머물러 있는 것을 보면서 꽃 피는 봄이 왔을 때 사랑하는 연희에게도 좀더 적극적으로 다가설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 같았다. 연희가 운영하는 음악학원에 강사로 채용해 달라고 말하면서...
  인생에 있어서 겨울은 다음 봄을 예비하는 전주곡 정도의 위치인 것 같다. 현우에게는 자신이 들어가고 싶었던 관현악단에 자꾸 떨어지는 것이었으며, 사랑하는 연희가 떠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우는 산골마을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그 긴 겨울을 잘 넘기고 봄을 맞이하게 된다. 나에게 있어서 겨울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또 하나 가르치는 일은 피곤한 일이지만 자신의 삶에 더 열정적일 수 있는 힘이 된다는 것이 교사인 나에게는 인상적으로 남았다.
  학생들 앞에서 연주한 <꽃피는 봄이 오면>의 메인 테마곡은 최민식이 직접 불렀다는 기사를 보았다. 관악기 중에서 트럼펫이 제일 배우기 어렵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맡은 배역을 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배우 최민식, 역시 그답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